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뉴스
"
면적
"(으)로 총 1,444건 검색되었습니다.
LED 연구에서 청색광이 마지막에 정복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한다. 양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크기가 작아질수록 표
면적
은 넓어지면서 결함이 더욱 드러나기 때문에 높은 효율을 내는 퀀텀닷을 만들기 어렵다”며 “밝은 빛을 내는 청색 퀀텀닷을 만들기 어려운 이유”라고 말했다. 퀀텀닷 중심(코어)를 덮는 껍질인 쉘을 ... ...
삼성전자 청색광 QLED 최고 효율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5
크기를 줄일수록 청색에 가까운 빛을 내게 된다. 하지만 퀀텀닷이 작아지면서 반대로 표
면적
은 넓어지게 된다. 표면에 결함이 없어야 높은 효율을 내는데 넓어질수록 결함 없이 균일하게 만들기가 어려워진다. 여기에 파장이 작아 반대로 에너지가 큰 청색광을 소재 자체가 오래 견디기도 ... ...
수도권 스포츠 관중·교회 예배 30%까지 허용...‘정밀방역’ 수칙 위반시 책임성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0.10.11
다만 일시적으로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박람회, 축제 등의 행사에 대해서는 시설
면적
4㎡당 1명으로 인원을 제한해 밀집도를 낮춰야 한다.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과태료를 부과화는 방역조치강화도 함께 시행된다. 위험도가 높은 다중이용시설들과 불특정다수가 밀집하는 대중교통, 집회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감염 검사, 이제 집에서 한다
2020.10.07
차원(D) 입체 그래핀 구조를 띤다. 때문에 이 모공들은 센서에 많은 양의 표
면적
을 만들어 매우 적은 양에만 존재하는 화합물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 이 센서에서 그래핀 구조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막 바깥표면에 돌기형태의 단백질(스파이크단백질 ... ...
[정필모 의원] "인하대 NASA 공동연구 끝났는데 연구비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245억원 등을 더해 총 578억원의 예산을 들여 2019년 6월 송도 지식정보산업단지에 건축
면적
지상5층, 지하1층 규모의 인천산학융합원 건물을 완공하고 운영에 들어갔다. 의원실 관계자에 따르면 하지만 지난해 인하대와 NASA간 협약이 중단됐다. 심우주 탐사 분야 투자가 줄면서 NASA 측에서 추가 공동 ... ...
추석 연휴 읽어볼 만한 과학책들 '김민준의 이너스페이스', '오리진'
동아사이언스
l
2020.10.02
지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실가스를 내뿜어 기후변화를 일으키고 프랑스 전체
면적
에 육박하는 육지를 시멘트와 콘크리트로 포장해 도시화했다. 하지만 결국 궁극적으로 인류의 역사를 결정하는 것은 지구다. 티핑포인트를 넘어선 순간, 인류는 막강한 지구의 역습을 손 쓸 방도 없이 바라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행성 발견 방법인 통과법으로 찾았다.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가면(일식) 가리는
면적
에 비례해 어두워지듯이 행성이 항성을 가리면 별빛이 줄어든다. 보통은 항성이 행성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감소 폭은 1~2%에 불과하다. 그러나 1856b는 1856보다 훨씬 커 별빛이 최대 56%나 줄었다. 공전궤도면과 ... ...
화성 남극 지하에 거대한 소금물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방식이다. 연구진이 이번 연구에서 발견한 호수는
면적
이 약 7만5000㎢에 달한다. 독일
면적
의 5분의 1 크기다. 중앙의 가장 큰 호수의 폭은 약 30km이며 주변의 작은 호수 3곳은 폭이 수km로 추정됐다. 화성 표면에서는 대기 물질이 부족하고 기압이 낮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는 불가능하다.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숲을 태우고 있는 산불의 모습이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러시아에서는 한국의 1.3배
면적
에 해당하는 1900만 헥타르가 올해 산불로 탔다. 최근 유난히 북극권 산불이 잦은 이유로 지하 토탄층에 남아 있던 전 해 산불 및 들불의 불씨가 이듬해 다시 타오르는 '잔존산불'이 거론되고 있다. 그린피스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녹아내린 남극 빙상 다시 돌아오지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6
1도당 거의 10m씩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문제는 온도가 다시 낮아져도 이전과 동일한
면적
의 빙상으로 복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서남극의 경우 산업화 이전보다 최소 1도 이상 낮아지지 않을 경우 다시 빙상이 만들어질 일은 없다”고 말했다. 윙켈만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