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스페셜
"
꼭
"(으)로 총 7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수사도 ‘콘트롤 타워’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31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법과학을 연구하는데
꼭
필요한 부분이 바로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선진국에서는 지문 뿐 아니라 범인의 신발 바닥에 붙은 자동차 카펫섬유 하나만 가지고 범인을 찾아내고, 자동차에 묻은 페인트만으로도 사건을 해결한다.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때문에 ‘인생을 바꿔놓을 기적’이라고 볼 수 있다”며 “이종이식은 우리 세대에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에 따르면 전 세계 당뇨환자는 3억 명 중 30%가 인슐린 주사를 맞으며 불완전한 치료를 하고 있다. 이들에게 이종장기를 이식한다면 거의 1억 명이 대상이 된다. 합리적인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2.25
오송에서 하는 식으로 특화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박노현 본부장의 ‘이것만은
꼭
!’ △공공의 연구중심 복합병원 구축해야 △첨단의료복합단지, 과학비즈니스벨트 등을 연구중심 병원과 연계 △BT, IT, NT를 융합하고 중개하며, 임상연구 기능을 강화해야 박노현 본부장은 1984년 서울대 의학과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28
’할 수 있는 산학연 협력의 구심체 역할을 도맡겠습니다.” 오태광 원장의 ‘이것만은
꼭
!’ △국가 출연연인 생명연이 바이오 정책의 구심점 돼야 △세계적 전문연구소 세우고 예산도 집중해야 △잘 하는 연구에 집중해 산업화까지 잇는다 오태광 원장은 1978년 서울대학교 식품공학 학사 1982년 ... ...
한의학硏, ‘R&D의 재구성’으로 천연물신약 쏟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2.31
재구성하기 위해 연구원을 만들고 연구개발(R&D)을 통해 기초를 다지는 작업이
꼭
필요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역사가 짧은 연구원이 그러하듯, 한의학연에서도 극복해야할 것들이 많다. 이 팀장은 가장 부족한 점으로 국내외 인적 네트워크가 부족해 우수한 인력들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연구성과도 곧 따라오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어르빈 네어 교수의 ‘이것만은
꼭
!’ △창의적 연구 도전이 세계적 발견 이뤄 △기초과학 지원은 중장기적으로 지원해야 △연구 책임자 선발은 최대한 꼼꼼하게 어르빈 네어 교수는 1966년 뮌헨공대 졸업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 1967년 미국 위스콘신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9.24
KDDF 단장은 ‘범부처사업‘에 걸맞는 관리체계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DDF 제공“신약 개발을 위한 범부처사업단을 출범시키는 데만 3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범부처’를 위한 옷이 만들어지지 않았어요. 사업단에 맞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 시급합니다.”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전임상시험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성회 교수의 ‘이것만은
꼭
!’ △의사가 연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급선무 △과학자와 의사가 함께 고민할 때 의학 발전 빨라져 △동물실험을 위한 인프라 구축해야 박성회 교수는 1975년 서울대 의대 의학과 학사 1979년 서울대 대학원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늘어나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광수 교수의 ‘이것만은
꼭
!’ △우수 인재를 생명공학자로 키울 사회적 분위기 필요 △의사와 생명공학자 뿐 아니라 다양한 연구 분야 ‘융합’이 절실 △줄기세포 분야 연구 포기해서는 안돼 김광수 교수는 1977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없으니 언젠가는 뛰어들어야 한다”고 새로운 도전을 권했다. 김성호 교수의 ‘이것만은
꼭
!’ △새롭고 차별화된 후보물질을 찾아내는 게 가장 중요 △전통과 습관 깨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도전해야 △신약 개발 등 새 분야 개척할 지도자 필요 김성호 교수는 1960년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6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