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스페셜
"
꼭
"(으)로 총 72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믿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상철 단장의 ‘이것만은
꼭
!’ △분산돼 있는 생명공학 연구개발을 국과위에서 통합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출연연의 역할과 위상이 강화돼야 한다.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이상철 단장은 - 197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있어야 세계적인 선도그룹과의 경쟁이 가능할 것입니다.” 현택환 교수의 ‘이것만은
꼭
!’ △국내 의대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려면 임상의학 연구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예측 가능한 국가 연구지원 체계를 갖춰야 한다. 현택환 교수는 - 1983년~1987년 서울대 화학과 학사 - 1987년~1989년 서울대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할 수 있는 제도와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영식 교수의 ‘이것만은
꼭
!’ △과학자들이 성과 위주의 기초개발 연구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지원 방식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실험실 연구가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와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연구를 지원하는 정부 ... ...
“2015년 단백질 지도 완성…연속성 있는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25
것”이라고 말했다. 변태섭 동아사이언스 기자 xrockism@donga.com 울렌 교수의 ‘이것만은
꼭
!’ △연속성을 갖고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 △발전된 IT와 BT를 결합하면 한국의 바이오 역량은 해외에서도 해볼만 하다. 울렌 교수는 - 1974년~1979년 스웨덴 왕립공대(KTH) 석사 - 1979년~1984년 스웨덴 왕립공대(KTH)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키울 수 있어야 한다. KIRD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선 원장의 ‘이것만은
꼭
!’ △출연연에 정책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 집단을 둬야 한다. △해외시장에서 성장하는 벤처기업이 나오도록 관련 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김상선 원장은 - 1974년~1978년 한양대 전기공학과 학사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지난해 12월 제출한 보고서에도 나온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바이오테크가
꼭
제약일 필요는 없다’라고 보는 시각이다. BT에서 제약 분야가 차지하는 시장규모가 1조 달러라면, BT를 이용해 타 산업으로 진출했을 때 형성되는 시장규모는 2조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가령 바이오연료나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22
0년 대계로 가야 합니다. 특히 신약 연구가 그렇습니다.” 조중명 대표이사의 ‘이것만은
꼭
!’ △정부 R&D 투자는 기업 연구역량과 미래가치를 기준으로 신약 분야에 더 집중해야 한다. △장기간 책임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공무원 정책 실명제가 필요하다. △바이오에 집중 투자하고 연구과제를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07
세계적인 생명공학 회사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백린 교수의 ‘이것만은
꼭
’ △대기업의 장기적 지원 필요 △특허나 논문 수보다는 지적재산권에 가치를 둬야 △신약 개발에는 선제 연구가 중요 성백린 교수는 -1973~1977년 서울대 약학대학 -1977~1979 KAIST 생물공학 석사 -1979~1982 ... ...
BT기술 경쟁력 생물자원 확보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2.24
제대로 된 판단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장렬 본부장의 ‘이것만은
꼭
’ △제3세계와 공동으로 생물자원 연구 필요해 △생물자원 유전정보 확보해야 △분류학자 육성 중요해 유장렬 본부장은 -1970~1974년 서울대 식물학과 -1974~1977 미국 캘리포니아주립공대 생물학 석사 -1977~1981 미국 ... ...
“종자 주권이요? 아직 논할 단계도 아닙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2.08
‘종자 주권’을 조금이나마 논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오영석 상무의 ‘이것만은
꼭
’ △ 토종-외래종 구별 없는 현실서 ‘종자 주권’ 의미 확실히 세워야 △ 종자의 생산과 판매로 이익이 창출되는 선순환 구조 만들어야 △ 육종 기술, 소규모 개별 연구로는 가망 없어 오영석 상무는 -1980 ~ 1987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