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유
입수
소지
점유
작은창자
교장
청원서
스페셜
"
소장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책임지게 됐다. 1886년 오데사박테리아연구소가 문을 열었고 메치니코프는
소장
이 됐다. 연구소가 수행한 과제 가운데 하나가 루이 파스퇴르가 막 개발한 광견병백신을 환자들에게 적용하는 일이었고 이렇게 그와 파스퇴르의 인연이 시작됐다. 그러나 러시아에서의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아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띠고 있었다. 즉 클로스트리디움에 오염된 식품을 먹을 경우 보툴리움톡신이
소장
에서 혈관을 타고 들어가 근육의 신경계 말단에 침투해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파괴한다. 그 결과 신경신호가 전달되지 않아 근육이 마비된다. 섭취량이 어느 선을 넘어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
2016.03.15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연구소 슈테판 헬
소장
이 발명한 장치로 헬
소장
에게 2014년 노벨화학상을 안겨줬다. 유도방출억제현미경이란 형광물질을 넣은 관찰대상에 레이저빔을 쏴 형광이 나오게 한 뒤 나노미터 크기의 부피를 제외한 다른 곳에 또 다른 레이저빔을 쏴 형광을 없애는 방식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네 명의 이름이 언급돼 있다. 즉 칼텍의 로슈스 보그트 교수(1994년까지 리고
소장
역임)와 로널드 드레버 교수, MIT의 라이너 바이스 교수, 칼텍의 킵 손 교수가 그들이다. 지난 11일 기자회견 자리에는 이 가운데 바이스와 손 교수가 보였다. 미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1992년 3월호에 에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비슷한 횟수로 분열하는 간에서 일생동안 암에 걸릴 위험성이 0.1%라고 하자. 이 경우
소장
암이 100%로 임의로 발생한다고 해도 간암은 10%에 불과하다. 즉 간암의 90%는 외부요인 때문이라는 말이다. 이런 식으로 데이터를 재해석하자 대부분의 암에서 발생의 90% 이상이 외부요인 때문이라는 결과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했고 1956년 화학회사 헤라클레스사에 취직했다. 2년이 지난 어느 날 연구
소장
이 부르더니 바로 앞의 말을 했다. 당황한 헤크는 곧 정신을 차리고 광범위한 문헌조사에 들어갔고 전이금속을 촉매로 한 화학반응을 연구하기로 했다. 이해 헤크는 팔라듐촉매를 이용해 상온에서 두 작은 분자가 탄소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
2016.01.04
1993년 이직한 홀과는 달리 마셜은 암연구소에 뿌리를 내렸고 사망 당시에도 연구
소장
자리에 있었다. ‘사이언스’ 11월 27일자에 부고를 실은 영국 맨체스터대 리처드 마레 교수에 따르면 마셜은 광범위한 지식을 갖고 있는 완벽주의자로 평소 연구자들을 다소 몰아붙이는 스타일이지만 한계에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
2016.01.03
분자세포생물학연구소(LMCB)로 옮긴 뒤 연구소가 자리를 잡는데 큰 역할을 했고 2000년 연구
소장
이 됐다. 2006년 미국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로 옮긴 뒤에도 LMCB와 관계를 유지하며 양국 연구자들의 교류에 힘을 쏟았다. 30년여에 걸친 홀의 연구는 세포의 신호전달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큰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공룡발굴에 헌신한 조피아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
2015.12.28
해양무척추동물을 집중적으로 연구했고 1961년 폴란드과학원 산하 고생물학연구소
소장
이 됐다. 때마침 폴란드과학원은 몽고와 고생물학 탐사를 하기로 협정을 맺었고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가 1963~1971년에 걸쳐 여러 차례 탐사를 이끌었다. 이때 발굴한 유명한 공룡화석으로 앞에 언급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
2015.12.26
실망하고 있었는데 이때 멕시코의 신텍스(Syntex)라는 작은 제약회사로부터 연구소 부
소장
제안을 받는다. 이곳에서 마음껏 스테로이드 연구를 하면서 1951년 마침내 여성호르몬 프로게스테론의 유사체인 노르에티스테론(norethisterone)을 합성하는데 성공한다. 이 약물은 생리불순과 불임치료제로 195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