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스페셜
"
존재
"(으)로 총 2,028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연구진 “2019년 12월 코로나 첫 발병 이전 중국 우한서 이미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6.24
포함하고 있었다. 이는 곧 화난수산시장을 거치지 않은 바이러스 초기 혈통이 이미
존재
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화난수산시장이 진원지가 아닐 수도 있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 블룸 박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염기서열 데이터 심층 분석을 통한 확인 과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삭제된 ... ...
또 밝혀진 코로나 '비밀 무기', 뇌 밖에서 뇌 염증 일으킨다
연합뉴스
l
2021.06.23
많은 코로나19 환자, 특히 신경학적 증상을 호소하거나 병원에 입원한 중증 환자에게도
존재
할 거로 연구팀은 추정한다. 뷔스-코라이 교수는 "코로나19 환자에게 브레인 포그나 피로감 같은 신경정신과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이번 연구 결과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통찰력 덕분이었다. 자연에는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미생물’이
존재
하기 때문에 유기물이 부패하고, 감염에 의한 질병이 발생한다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다. 자연에서 생명이 저절로 발생한다는 2500년 전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발생설’은 더 이상 설득력을 잃어버리게 ... ...
'예방률 47%' 초라한 성적 받은 큐어백의 mRNA백신, 과학자들 왜 실패에 주목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암호화해 전달한다. 여기에 쓰는 mRNA는 자연에
존재
하는 걸 모방한 인공 mRNA다. 세포가 백신 mRNA 자체를 침입자로 인식하고 면역 반응을 과도하게 일으키면 항원 단백질을 생산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초기 mRNA 백신은 개발 단계에서 너무 독성이 강하다는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맞고 화이자 맞아도 괜찮을까…효능 있지만 근거는 여전히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표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교차접종을 허용했다"면서 "충분한 데이터가
존재
하지 않음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 정부도 확신 없나..."교차접종 원칙 아니야...7월 한시적 운영" 국내에서도 교차접종 연구를 진행 중이지만 결과 도출에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아스트라제네카 ... ...
코로나19 신규 확진 357명 엿새 만에 300명대…백신 1차 접종 1500만 명 넘겨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있다. 다만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재확산의 불안 요소는 여전히
존재
하는 상황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1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7명이라고 밝혔다. 지역발생이 317명, 해외유입이 40명이다. 이날 지역발생 317명 중에서는 서울이 127명으로 가장 많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없이 해야 잘 되는 일
2021.06.19
말자’와 ‘하자’ 사이를 휙휙 오가고, 보통 하기 싫은 이유는 언제나 산더미 같이
존재
하므로 ‘하지 말자’가 이길 가능성이 높다. 애초에 돌맹이와 바위의 싸움이랄까. ‘할까’와 ‘말까’ 사이에 싸움을 붙이는 시점에서 이미 후자가 반쯤 이긴 게임이 되고 마는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 ...
태양계 불지옥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8
일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제공 최근 금성에 생명체가
존재
할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가 나오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금성 탐사에 불을 붙인 건 '포스핀'의 발견이다. 지난해 9월 영국 카디프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등 공동연구팀은 국제학술지 ... ...
정전기로 공기 중 코로나19 바이러스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특징이다. 김상우 교수는 “정전기 기반의 자가발전형 병원체 제거 기술로 공기중에
존재
하는 병원체를 물리적으로 단순히 포집하는 기존 필터의 한계를 극복했다”며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마스크 및 방호복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알츠하이머 치매 진행 속도 늦출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제공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정선우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플렉신-A4라는 단백질의
존재
는 알려져 있었지만, 이 단백질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플렉신-A4를 조절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