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안전시설을 만들었을 때 얼마나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지와, 만들 때 들어가는 비용을 생각하기 위해서다.예를 들어 보자. 어떤 도로에서 교통사로로 인한 사망률이 10만 명당 1명이고, 이 지역에 총 100만 명이 살고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교통사고로 한 해에 10명이 죽는다는 말이다. 사고 방지용 ... ...
- [정보] 겨울방학, 수학곰 퇴치 대 작전!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선생님, 수학이 재미없어요!혹시 구두장이의 칼을 알고 있나요? 구두를 만드는 사람들은 오른쪽 사진과 같이 생긴 ‘구두장이 칼’이라 부르는 아주 특별한 모양의 칼을 사용합니다. 수학에도 이 칼과 모양이 같아서 구두장이 칼이라 불리는 도형이 있어요.아래 그림과 같이 서로 접하는 세 반원 ...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1 섬 바다 건너 머나먼 대륙으로아프리카를 나온 인류는 동쪽으로는 동남아시아로, 서쪽으로는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이 중 동남아시아 방향으로의 ‘확산(목적없이 서서히 퍼져나갔다는 뜻)’은 6만 년 전에 시작됐는데 해안을 따라서 대단히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 아프리카와 더 가까운 유럽 ... ...
- 오로라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달빛 아래 펼쳐진 오로라겨울에는 몇 m 두께의 얼음이 덮여있는 호수이지만 여름 한철은 이렇게 맑은 물 위로 오로라의 반영을 볼 수 있다. 9월 말이 되면 벌써 얼음이 얼기 시작하고, 11월 말이 되면 차가 지나가도 될 정도로 두껍게 얼음이 언다. 이 사진을 촬영하던 날, 물 위로 수달 같은 동물이 ... ...
- 며느리도 모르는 장맛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안녕하세요. 새해 첫날을 밝히는 ‘6시 내 고향맛’!오늘 맛볼 음식은 바로 한국의 맛, 된장입니다. 어린 시절 까치발을 들고 폴짝~폴짝~ 집 뒤에 있는 장독대에 뛰어가 항아리 뚜껑을 쫘악~ 열면 하얗게 피어 있던 곰팡이! 엉겨 붙은 곰팡이를 뚜껑처럼 열어 들어내면 구수~한 된장내가 풍기던 때가 ... ...
- 나도 생방송 보니하니 진행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어린이과학동아죠? 생방송 ‘보니하니’ 프로그램 진행자가 필요해요!”얼마 전 방송국에서 급하게 연락이 왔어. 그래서 비밀리에 명예기자 두 명을 보니와 하니로 선발했지. 밤샘 훈련을 거듭하며 명품 진행자가 될 준비를 모두 마쳤어. 드디어 결전의 날. 방송국으로 출동~! 여기가 바로! 촬영스 ...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차치수의 ‘라면 정복하기’ 프로젝트❶라면의 인기를 파악하라 !라면으로 지구 4000바퀴!라면에 대해서 알고 싶다면, 먼저 라면이 전세계 사람들에게 얼마만큼 사랑받고 있는지부터 아는 게 순서지. 2010년 한 해 동안 전세계에서 판매된 라면의 양은 약 1000억 개! 이건 세계라면협회(IRMA)의 통계 자 ... ...
- 새해 가족 미션, 십이면체 달력 만들기!수학동아 l2012년 01호
- “와~! 드디어 1월 1일, 2012년의 첫 날이에요.”“새해 첫 날, 이렇게 가족 모두가 모이니까 참 좋구나. 하하! 1월엔 하나 생일이 있지? 10일이 생일이니까 올해는 화요일이구나.”“맞아요! 생일 선물 꼭 사 주셔야 돼요!”“물론이지. 그나저나 오늘은 새해 첫 날이니까, 우리 가족만의 특별한 달력을 ...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새해가 밝았다. 보통 새해가 아니다. 화성에 첫 정착민이 도착한 날을 화성력 1년 1월 1일로 삼은 이래 스무 번째 맞는 새해다. 지구 시간으로는 약 36년이 지났다. 그동안 8명으로 시작한 화성 기지 ‘웰즈’의 인구는 237명이 됐다. 지금도 인구 과밀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 각지에서 화성 이주를 신 ... ...
- 근육로봇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로봇을 한번 떠올려 보자. 사람처럼 뚜벅뚜벅 걷는 휴머노이드, 강물 속을 헤엄치는 물고기로봇, 지그재그로 기어가는 뱀로봇 등 가지각색의 로봇이 생각난다. 혹시 문어처럼 흐느적거리는 로봇을 상상한 독자가 있는지. 최근 문어 같은 연체동물은 물론이고 벼룩로봇, 식물을 닮은 로봇 등 새로운 ... ...
이전6366376386396406416426436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