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0,289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12
별로 만든 별자리이다. 베텔게우스와 프로키온, 시리우스가 만드는 겨울 대삼각형
속
에 숨어있는데, 은하수에 묻혀있어 그 모습을 찾기가 쉽지 않은 별자리다. 애써 찾아낸 별을 이어봐도 외뿔 달린 소 같다는 느낌이 별로 들지 않는다. 별자리 가운데로 은하수가 가로지르며 진기한 밤하늘의 보석을 ... ...
02 꿈의 에너지 가로막는 난적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112
위한 노력이 한국의 차세대 초전도 핵융합 장치(KSTAR)를 비롯한 여러 연구장치에서 계
속
되고 있다. 21세기 중반에는 에너지 문제의 궁극적 해결책이 될 꿈의 에너지 상업적인 핵융합 발전을 성취할 것으로 기대된다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12
끝단의 개들은 남방견 혈통이라 추정할 수 있다. 배달민족의 단일성 간접 증명 혈액
속
에는 많은 종류의 단백질이 있다. 이 중에는 기능은 같으나 구조가 조금 달라서 분자생물학적으로 구분되는 ‘다형단백질’이 있다. 여러 종류의 다형단백질을 잘 선택해 각 개들이 어떤 다형단백질을 갖는지 ... ...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
과학동아
l
200112
똑같은 과정을 거쳤다.체세포복제로 태어난 돌리는 체세포를 채취한 6세의 양과 핵
속
의 유전형질은 같지만 엄연히 구별되는 존재다. 복제가 붕어빵 찍듯 생명을 만드는 것이 아니란 얘기다. 체세포복제 방법을 인간에 적용해 만든 복제인간 역시 수정시키는 방법만 제외하면 보통 인간과 다르다고 ... ...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200112
장으로 구성돼 있다. 시대적 측면에서 그리고 지역적 측면에서 과학의 역사를 한권의 책
속
에 담아내고자 했던 저자의 의도를 이러한 긴 목차로부터 짐작할 수 있다.메이슨은 서두에서 오늘날과 같은 과학의 출현이 중세 후기 및 근대 초기에야 가능했다고 말하면서도, 제1부와 제2부의 11개 장을 ... ...
탄저균 혈액세포 침투 막는 항체 개발
과학동아
l
200111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 문제는 탄저균을 흡입해 폐로 들어갔을 경우다. 폐를 통해 혈액
속
으로 들어간 탄저균은 독소를 방출해 인체의 면역세포인 대식세포에 침투한다. 대식세포는 침투한 독소를 죽이기 위한 물질을 과도하게 방출하다가 한계에 이르면 터져버린다. 이때 대식세포에 들어있던 ... ...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
과학동아
l
200111
못한 다른 사람들은 가난에 시달렸지만 힘으로는 도저히 당해낼 재간이 없었으므로
속
으로 분을 삭일 수밖에 없었다. 다른 마을로 가봤자 낯선 사람에게 일감을 줄 리가 만무했다. 사람들은 땅이 꺼져라 한숨을 쉬면서 심지어 하늘을 원망하기도 했다. 그러던 어느날 마을에 덩치가 아주 작은 일꾼이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11
흐름이 핵 주위를 상하좌우 동일하게 감싸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혜성 주위의 이온 흐름
속
에 있는 이온은 1백만K(절대온도, 절대온도(K)=섭씨온도(℃)+273.16)까지 가열돼 이온 띠가 태양풍에 비해 넓고 톱니처럼 보이게 된다고 한다. 이전에는 혜성핵 주위의 온도가 10만K 정도로 측정됐다.또다른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11
주지시켜주는 계기가 됐다.19세기에 이르러 과학과 기술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속
도로 발전했다. 이때 인간의 마음 연구에도 과학적 방법론이 적용됐고 이는 현대 심리학의 탄생을 가능하게 했다. 1879년 독일의 빌헬름 분트(Wilhelm Wundt)는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설립했고, 이와 비슷한 시기에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생리·의학 - 특정 질병에 특정 치료법, 최초이자 최고
과학동아
l
200111
인류가 바로 이런 점들을 인식하기 시작했다는데 있을지도 모른다. 의학과 생리학은 계
속
발전되고 이 분야에서 더욱 많은 노벨상 수상자가 앞으로도 배출될 것이다. 그러나 21세기의 업적은 좀더 겸허하고 신중하며, 우주와 자연 안에서 인간의 위치를 적절하게 제시하는, 그런 것이 되기를 ... ...
이전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