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초원의 청소부 하이에나는 억울하다. 사냥은 전혀 할줄 모르고 죽은 시체나 먹는 동물로 잘못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아프리카의 대초원. 한마리의 얼룩말이 혼신의 힘을 다해 질풍같이 도망가고 있다. 그 뒤를 몇마리의 얼룩 하이에나가 추격을 한다.곧 하이에나는 성공적인 사냥을 자축하듯 요란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맞겠느냐는 것이 보다 중요한 판단요인이기 때문이다." 대한항공 부설 한국항공기술
연구원
부원장인 홍용식박사 말이다. 또 입사과정에서는 동일한 전공이라면 해외학위자들-물론 이 경우도 명문대에 한한다-에게 점수를 더 얹어주는 게 사실이지만 그 이후는 국내든 해외든 자신의 학위정도에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우리 조상들의 식생활을 유심히 관찰해 보면 공해시대에 사는 현대인이 반드시 먹어야 할 음식목록이 나온다.이제는 공해라는 말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또한 환경오염이라는 말도 누구나 아는 용어다. 환경오염이 사람에게 해를 미치는 것을 우리는 공해라고 한다. 공해물질은 우리 몸에 서서히 ... ...
과일 부패 막는 게껍질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갑각류 껍질의 키틴질에서 산화방지제 성분을 만들어낸 사람은 아일랜드 퀸스대학의
연구원
크리스티나 카롤란. 키틴은 셀룰로스 다음으로 자연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고분자물질이다. 이는 갑각류의 껍질을 단단하게 하는 성분.카롤란과 동료들은 키토산(chitosan)이라고 불리는 키틴 유도체를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활동을 돕기 위해. INIPOL이라는 비료만을 뿌려줬다. 한국해양연구소의 강성현
연구원
(해양화학)은 "미국의 경우 이미 기름분해 박테리아를 키워 파는 회사들도 있다. 그러나 이들이 파는 박테리아의 기능이 실험용 탱크 이외의 실제 상황에서 입증된 것이 아니므로 어떤 위험이 있을지 모른다"고 ... ...
20세기안에 고온초전도 상품 나올듯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보면, 87년 과학기술처에서 주관하는 특정연구과제의 일환으로 표준연구소 과학기술
연구원
기계연구소 등 8개 출연연구소와 서울대 부산대 연세대 등 10여개 대학팀, 그리고 산기연(포철부설)등이 87~89년 사이에 35억원의 연구비로 공동연구를 수행하여 임계온도 1백10K 수준의 물질합성, 단결정 및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고해상도의 사진 열추적 등 첨단기술을 총동원해 적진을 뒤지는 인공위성. 군사목적으로 이용되는 위성의 가공할 파괴력이 페르시아만에서 확인되고 있다.1990년 7월 20일 소련이 발사한 코스모스 2086위성은 처음 며칠동안 정상적인 기본정찰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7월 28일,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0Wh/㎏), 나트륨-황전지의 에너지밀도가 제일 높다(2백 Wh/㎏).한국동력자원연구소의 최병호
연구원
(태양에너지연구부)은 "최근 태양전지의 가격이 많이 떨어져(Wp 당 5~6달러 수준) 그 응용 분야가 급속히 확산되었다"고 전제한 뒤 "태양 전지자동차도 그 한 예"라고 지적했다.태양전지자동차가 지구상에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남벌로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든 '큰제비꼬깔'군락지(태백지역)를 발견해 환경
연구원
에 보호 요청해 놓고 있다. 대관령의 '동미나리', 반월지역의 '깽깽이풀'등 멸종돼가는 식물은 사진기록과 더불어 채종해 번식시키기도 한다. 예술성도 추구치과의사인 임운경씨(57)는 꽃만을 전문으로 찍는 꽃사진 ... ...
2 초고속 병렬처리에 적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광컴퓨터 관련 기본광소자들의 제조와 아날로그형 광연산에 대한 연구가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소(ETRI)와 일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아직 산업에 활용될 수준은 아니며 더구나 기존의 컴퓨터와 기능이 유사한 광컴퓨터에 대한 연구는 전혀 ... ...
이전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