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캐들린 크레인 박사는 "담수에도 열수배출구가 있다"고 단언한다. 그는 최근 동료
연구원
들과 함께 소련의 바이칼호수를 샅샅이 뒤져 담수성 열수배출구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그 배출구는 내륙으로 약 1천6백㎞떨어진 시베리아의 바이칼호수에 있었다.일반적으로 열수배출구는 대륙의 갈라진 ... ...
과학기술처 김진현 장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빨리 바뀌어 역할분담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이밖에 연구인력 양성, 기술자립,
연구원
처우개선 등에 관련된 질문에는 "극히 원론적인 답변 외에는 할 수 없음을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업무파악이 제대로 돼있지 못함을 솔직히 시인했다.-사회변화에 과학기술은 점점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는데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BOD COD DO같은 전문적인 용어보다 더 빠르고 직접적인 환경감시기구가 있다. 몇해 전까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생물들이다.게오르규의 '25시'는 한때 세계적 명작으로 손꼽혔고 영화로도 만들어져 우리나라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그 소설의 주인공인 순박한 농부(요한 모리츠)에게 유 ...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기억저장 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은 무엇일까. 무엇보다 제품을 만들어내는 회사의 담당
연구원
들이 발생가능한 모든 경우를 예상하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충분한 실험을 통해 되도록 많은 지식을 마이컴에 전달해주어야 한다. 여기 소요되는 시간은 보통 수년이 걸린다(경우에 따라서는 더 적게 ... ...
2. 퍼스널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IBM PC 호환기종을 주로 생산하고 있는 국내업체들은 설계기술이 취약해 비싼 로열티부담을 안고 있다.컴퓨터를 일반인이 폭넓게 사용하게 된 것은 10년 정도에 불과하다. 제2차세계대전 말기인 1945년 펜실베이니어대학에서 세계최초로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해 계산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에니악 ... ...
「정보화」의 두얼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지방분산을 재촉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최근 정보화의 지역격차로 인해 대도시로의 역류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는데…요즈음 '정보화''정보시대''정보사회' 등의 단어를 주위에서 흔히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인 정보화는 우리 일상생활에까지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받아들임으로써 실무자급의 북경회동이 성사된 것. 이 실무자접촉에서 양측은 상호간
연구원
파견, 교육내용 등 구체적인 부분까지 논의를 진행시켰고 남북체육회담에서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다뤄 매듭을 짓기로 했다."남북이 기술이전문제를 체제경쟁에서의 우열의 지표로 몰고가는 식의 생각만 ...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미연방기준 및 미항공우주국기준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
연구원
과 공기청정연구조합이 클린룸 업체와 같이 클린룸 기술에 대한 기준을 작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곧 클린룸에 대한 기술기준이 확립될 것으로 생각한다.클린룸의 청정한 정도를 평가하는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람의 뇌와 닮은 뇌를 갖고 있는 「마린보이의 친구」는 배가 고파 육지에서 바다로 이사갔다.지난 여름 서울대공원을 찾은 관람객들이 환성과 감탄사를 연발하며 장사진을 이룬 곳이 있다. 수중서커스의 대가인 돌고래들이 멋진 묘기를 보여준 해양수족관이다.관람객들은 30℃가 넘는 무더위도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그들은 "미국의 과학이 점점 고사되는 것은 한꺼번에 수십억 달러가 소모되며 수백명의
연구원
이 매달리는 빅사이언스(big science)때문"이라고 말한다. 빅사이언스 때문에 전통적으로 과학발달을 주도해 온 스몰사이언스(small science)가 해를 입었다는 주장. 미국내의 이러한 반론을 잠재우기 위해 ... ...
이전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