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세대 뒤엔 실현될지도 달에서의 생활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과
학자
들은 보다 정밀하고 근거있는 비젼을 다듬어 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연구기관이나
학자
ㆍ기술자들은 이같은 일러스트를 자주 그리도록 위촉한다. '패트 러링즈'가 그렸다 ... ...
슈퍼노바 1987A에서 온 광자와 중성미자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지난해 2월23일 빛의 입자인광자(光子ㆍPhotons)가 지상에서 발견되었으며 최초의 광자가발견되기 3시간전에 중성미자(Neutrinos)도 검출되었다.중성미자는 슈퍼노바 1987A의 중 ... 광막한 우주공간에서는 존재할수가 없어 두가지 입자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것으로
학자
들은 결론내고 있다 ... ...
일본정부, 2백명의 외국
학자
초청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보다 개방적인 사회분위기를 조성하기위해 이같은 계획을 세웠다"면서 많은 외국의
학자
들이 일본에와서 일본의 과학과 기술을 이해하는 한편 일본의 관료화한 연구시스팀에 창조적자극을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초청될 연구원은 박사학위취득자 이상, 35세미만으로 제한돼 있으며 일본내에 ... ...
컴퓨터에세이① 인공지능은 바벨탑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현재 나와있는 시스팀들은 왜 아직도 그리 아둔한가? 실제로 이런 문제에 대해 언급하는
학자
들은 지금보자 몇 만, 몇 십만배 더 빠른 컴퓨터가 등장해야 한다고 얘기하는데 그런 컴퓨터가 있다면 정말 이상적인 인공지능이 이루어질까?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분명히 부정적이다. 인간이 갖고 있는 ... ...
여름밤 별자리 찾아보기 우주의 신비에 빠져드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비교적 적은 비용과 간단한 도구로 전설의 샘,별자리를 찾아보는 즐거움을 모른다면 안타까운 일. 또 이 즐거움은 과학을 사랑하는 마음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여름의 별자리(星座)는 동서양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전설의 보고(寶庫)이다. 그래서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별에 관한 이야기를 읽 ... ...
두가지 역할의 갈등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믿음이기도 하였다. 실제로 얼마 전 과 학우들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의 내용중에 '과
학자
의 연구동기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이 있었는데 70%이상의 학생들이 자기만족이라고 답한 것을 보았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학우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과학의 가치 중립성에 대한 강한문제 ... ...
다시 화제가된 훼르마의 정리 3백년간 풀리지 않은 문제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한 사람의 능력이 이렇게 방대할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일으킬 정도로 위대한 수
학자
임에 틀림없다. 1897년 레이든(Leyden)도 서관소장 오이겐스(Christiaan Huygens)의 원고 중에서 훼르마가 발견한 것으로 알려진 귀류법에 유용하게 이용되는 '무한한 하강(infinite descent)'방법이발견 되었다. 이 방법은 ... ...
PARTⅡ 합성섬유 기적의 섬유, 나일론 탄생 50년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귀중한 견섬유를 인간의 손으로 만들려고 시도하였다. 유명한 물리학작이며 생물
학자
이기도 하였던 '후크(Hooke)는 누에가견사를 토출(吐出)하는 모양을 자세히 관찰하고 이를 모방함으로써 인간의 손으로 섬유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언한 바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은 단지 학술적인 흥미의 ... ...
솔입혹파리 때문에 소나무 전멸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삼림중심적인 면에서 추구해야 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이러한 점에서 생태
학자
'사우스우드'와 '웨이'의 시각을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그들은 해충문제를 "다양한 환경요인들 중에서 어떤 것이 부가되고 어떤 것이 제거되어야 하는가?"를결정하는데서부터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 ...
자리 바뀐 섬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없어지고 복사본의 일부만이 현존하고 있다.매사추세츠의 우즈 호울에서 두명의 해양
학자
, 필립 리차드슨과 로저 골드스미스가 항해일지의 남은 부분과 바람과 조류에 관한 가장 적당한 자료를 토대로 항해를 재현하려고 시도하였다. 배의 속도와 카나리 섬에서의 출발 방향을 알고 일종의 추측 ... ...
이전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