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윤초(閏秒)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31일의 마지막초에 더해졌다. 그 바로 전에는 1985년 6월 30일에 윤초가 있었다. 이는 천문
학자
뿐만 아니라 항해하는 선박이나 전 세계의 라디오와 텔리비전방송 등을 위해서 꼭 필요한 조치이다.궁극적으로 먼 훗날에는 매일마다 1초의 윤초를 더해주어야 할 것이고, 그때마다 하루가 1초 더 ... ...
갑자기 습관을 멈추면 나빠진다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인체에 이로운것. 미국의 의학지 '메디컬트리뷴'최근호에 미국 '듀크'대학의 운동생리
학자
'브라이언스미드'박사가 9세~15세로 조깅을 습관화하고 있는 어린이의 콜레스테롤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에 의하면 조깅하는 어린이의 HDL은 하지 않는 어린이보다 32%많고 거꾸로 LDL은 13%가 적었다. ... ...
번식의 일반규칙을 깬 바다물고기 해마(海馬·SEA HORSE)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거의 모든 생물은 암컷이 새끼를 낳고 기른다. 그런데 수컷이 알을 부화하고 기르는 종이 있다.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암컷이 새끼를 낳고 기른다. 이것은 생물계의 철칙 ... 이런 해마의 생태를 두고 여성의 활동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현대를 상징하는 것 같다고 풀이한 생물
학자
도 있다 ... ...
우리는 지금 몇 살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네안데르탈인들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강했을까? 그들은 훨씬 잘 싸웠을까?과
학자
들은 지금 이 문제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이, 정말로 맘만 먹으면 스스로를 5만5천초 이내에 파멸시킬 수도 있다는 사실이 슬프게 느껴진다.How old are we? By "we" I mean the group of organisms known ...
지동설이 나오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완성한 지동설아리스토텔레스의 권위에 도전하는 보다 명쾌한 이론은 이탈리아의 과
학자
갈릴레오의 지동설이다. 그는 달이 지구와 같은 모습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그가 제작한 망원경으로 관찰한 달의 모습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것과는 판이했다. 달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 ...
돌고래 마구 죽이는 참치잡이 어망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모습을 담은 비디오필름때문에 비롯했다. 이 필름은 '샘 라버드'라는 미국의 생물
학자
가 요리사로 4개월간 참치잡이 어선에 취직, 잠수해서 찍은것으로 얼마전 워싱턴과 런던에서 공개되었다. 이 참치그물은 캘리포니아에서 칠레 남단까지의 동 태평양 지역에 널리 쳐져 있으며 멕시코가 가장 많이 ... ...
부활을 기다리며 냉동인간 제조 이미 수백명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급속냉각보다 한수더 어려운 급속해빙은 그 기술이 아직 거론단계다. 그래서 한 생물
학자
는 "최초로 해빙을 시도하는 날이 곧 냉동인간보존술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날"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 ...
바바라 맥클린토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오아시스'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맥클린토크의 연구는 수십명의 분자생물
학자
들에게 자극을 주어 옥수수연구에 손을 대개 했다. 그녀가 거둬들인 종자는 전세계의 연구소로 전파되고 그녀가 얻은 지식은 유전자의 규칙과 돌연변이과정에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 ...
공룡사멸에 관한 또 하나의 가설 산소가 줄면서 죽어갔다.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가스가 대기의 산소와 상호 작용하면서 거대한 양의 산소를 소모했다는 것이다. 또 어떤
학자
들은 공룡이 군림하던 시절, 산소가 아주 많았다는 것이 아이러니칼하게도 산소 부족을 초래했다고 주장한다. 즉 산소가 많으니까 산불처럼 지상에서 큰 화재가 자주 발생하고 이런 때마다 산소의 소모가 ... ...
비스무스 이용, 고온초전도체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77K를 훨씬 능가하는 94K를 갖는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각국의 물리
학자
를 포함한 재료과학계는 새로운 고온초전도체의 개발열풍에 빠져들게 되었다. 그것은 불과 수개월 전만 하더라도 값비싼 액체헬륨을 사용하지 않으면 얻기가 불가능했던 초전도성을 값싼 액체질소로 쉽게 ... ...
이전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