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센서보다 우수한 광학섬유센서 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재빠른 전자센서는 한동안 신축건물의 '감초'였다. 사실 건물 내 또는 주변에서의
인간
의 활동, 트럭의 이동, 미세한 지진 등을 포착하는데는 놀라운 기능을 발휘했다.그러나 광학섬유센서는 전자센서 보다 더 많은 장점을 갖는다는 것이 개발자들의 자랑이다. 무엇보다 전자센서는 어떤 특정한 한 ... ...
바이오 세라믹 코팅으로 뼈를 붙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새로운 바이오세라믹 재료는 부러진 뼈를 재생시키는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까.인공관절은 몸무게를 지탱해야 할 뿐더러 자주 반복되는 ... 있다. 그러나 사람도 똑같이 그렇지는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동물은
인간
보다 뼈의 회복이 빨라 동물의 데이터는 그다지 의미가 없다 ... ...
환경오염으로 수난겪는 지중해의 바다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중금속 살충제 폐유 등이 이들 바다풀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미치고 있는데, 그 대가는 곧
인간
들이 톡톡히 지불할 것이라고 한다.지중해의 바닷속을 화려하게 장식했던 바다풀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포시도니아속의 식물(Posidonia oceanica)이다. 이 식물은 오랫동안 지중해에 서식하는 4백종의 조류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하는 뱀은 완성된 새끼뱀을 출산한다.대개의 뱀은 7월부터 9월 초에 알을 낳는다.
인간
에게 해를 끼치는 독사는 오늘날에도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대략잡아 전세계 뱀의 10분의 1에 달한다. 독사는 위턱의 안쪽에 독액을 저장하고 있는데 그곳을 독샘이라고 부른다. 어떤 물체를 물면 독액은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건강 희구의 표현이다. 살아 있는 곰의 쓸개즙을 짜서 마시는 것도 무병하게 오래 살려는
인간
의 잘못된 욕망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약품과 구별돼야건강을 오래도록 유지하기 위해 저마다 갖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그중에서 건강을 유지 개선하기 위해 먹는 음식을 우리는 건강식이라고 부른다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드리마일원전사고 등 대형사고가
인간
(운전요원)의 실수로 인해 일어났음을 볼 때
인간
의 실수에 기인한 핵전쟁도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다.미소 등 핵강대국들은 이러한 우발적 핵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 우선 핵무기를 쏘기까지의 과정을 보면 한두사람이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수학석사를 마친 배커스는 IBM에 입사하여 스피드코딩 번역기작업에 참여했다.배커스는
인간
의 사용언어와 유사한 언어를 개발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 즉 사용자로부터 기계어나 어셈블리언어를 분리시켜 컴퓨터 동작과정을 잘 몰라도 필요한 일을 할 수 있게끔 하려는 것이었다. 따라서 ... ...
여성 천문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엄청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최초의 방법을 제공해 주었으며 이로써 우주에 대한
인간
의 지식도 크게 신장됐다. 그러나 이를 자세히 밝혀냄으로써 공로를 인정받은 사람은 할로우 샤플리였다(어쨌거나 그는 남자였기 때문이다).이런 일은 자주 발생한다. 1969년에 조셀린 벨은 맥동성들을 발견했다. ... ...
1. 핵무기와 원자로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렇다고 해서 두가지 모두를 없애려는 발상은 분명 잘못된 것이다.원자로는 보다 많은
인간
의 노력과 지혜를 필요로 하는 문명의 이기일 뿐, 공포의 대상은 아니다. 이를 얼마나 더 안전하게 유지하며 관리할 것인가는 우리와 우리의 후손들이 게속해서 연구해야 할 과제다. 탱크를 녹여 쟁기를 ... ...
「혈액형 성격진단」 근거있는 것일까?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희박하다. 만약 관련이 있다면 극히 미약하다"고 말하고 "혈액형을 통해 어떤 형의
인간
이라 단정짓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결론지었다.그후에도 여러 사람들이 혈액형과 성격과의 관계를 연구했지만 결론은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그런데도 불구하고 '혈액형 성격판단'은 계속 불씨를 살려가며 ... ...
이전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