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를 입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 컴퓨터의 디자인 개발 실장인 다케마사 히데치는 자신들이 역점을 둔 것은 "컴퓨터가
인간
몸에 밀착해 마치 그 일부분인 양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를 위해서 디자이너들은 기존의 컴퓨터상(像)자체를 부정하는 일에서부터 출발해야 했다. 즉 컴퓨터를 들고 다니는 상자형태로 보는 ... ...
수의학이
인간
의 질병해명에 기여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러나
인간
은 자기가 앓고있는 병 이외에도 여러가지 병균에 감염돼있을 가능성이 크다.
인간
의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동물을 실험대상으로 하는 행위에 윤리적인 문제 제기도 없지 않다. 수의학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민감하다. 그들은 자신들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강변한다."실험효율을 ... ...
인간
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우리
인간
생활을 더욱 더 풍요롭고 안락하며 쾌적한 분위기로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인간
생체 감각기능과 주위환경 및 생활제품과의 관련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고 연구하는 감성공학기술이 새로운 과학기술 연구분야가 될 것이다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해서 커다란 기여를 할 것이라 생각된다. 정보저장능력 탁월우선 X선 홀로그래피는
인간
의 세포를 3차원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는 인류의 질병 진단에 획기적인 비약의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이미 널리 활용되고 있는 컴퓨터 그래픽 분야에서는 프로그램된 2차원 평면 영상을 3차원 ... ...
3. 핵실험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PTBT가 지하에서만 핵실험을 행하도록 규정함으로써 방사능 낙진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인간
의 피해를 줄이는데는 기여했지만, 이 조약이 시행된 후 미소의 핵실험 횟수는 더욱 증가했다. 또 핵보유 가능국들은 핵실험을 굳이 할 필요가 없었으므로 PTBT가 핵실험을 중단시키거나 핵확산을 방지해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쉽게 생물학적 바이러스를 떠올릴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는 대상물(예를들어 우리
인간
)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키게 하며 또 다른 사람한테 감염을 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모든 사람한테 침투하는 것은 아니며 우리가 평상시 몸을 깨끗이 한다든가 혹은 예방 주사를 맞음으로써 대비가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정보혁명으로
인간
의 행동반경은 시간의 영역까지 넘보게 됐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인간
의 행동반경은 국가를 넘어 세계로,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으로 도약하게 된 것이다.이제 인류의 시간에 대한 도전은 드디어 동시대(同時代, real time)의 차원에까지 이르렀다. 지금 정보사회에 살고 있는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타원형의 M31을 발견할 수 있다. M31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천체다. 맨눈으로
인간
이 2백만 광년의 거리를 볼 수 있다는 것은 믿기 힘들 것이다. M31을 보고 있을 때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은 2백만년 동안 우주를 여행해 오늘에야 우리 눈에 닿은 것이다. 이 빛은 원숭이를 닮은 우리의 선조들이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표시장치는 습도 온도 충격 진동에 견딜 수 있는 고체디스플레이가 필수적이다. 또한
인간
의 생명과 직접 관련이 있으므로 동작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측정 및 분석장비는 논리분석기 전자현미경 오실로스코프 의료용영상스크린 등을 꼽을 수 있는데, 이들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분해능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그 옛날
인간
이 네발로 걸었을 때는 손과 발의 구별이 없었으나
인간
이 만물의 영장으로 두 발로 서서 걷게 됨에 따라 손과 발의 기능이 달라지게 됐다. 손은 '제 2의 두뇌' 라고 일컬을 정도로 많은 일을 하고 인류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해 모두가 손에 큰감사를 느끼며 많은 ... ...
이전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