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뉴스
"
회보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생아에게 엄마 목소리 자주 들려주세요
2015.02.24
아기의 뇌 발달 속도는 매우 빠르다고 알려졌지만, 어느 시기에 어떤 부위가 발달하는지 자세한 기작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최근 미국 연구진은 조산아의 경 ... 실제로 향상시키는지를 알아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23일자에 실렸다 ... ...
3D 프린팅 넘어 ‘4D 프린팅’ 온다
2015.02.13
교수팀은 스스로 접히는 전자종이로 배나 비행기를 만드는 데 성공해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는 당시 박사후연구원이던 김상배 MIT 교수가 참여했다. 같은 해 로런스버클리 국립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물속에서 저절로 조립되는 ... ...
힘들어도 말은 OK?
2015.02.11
등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한국어 영화 자막과 한국어 트위터 등을 포함한 10개 언어권의 24개 자료를 모은 빅데이터를 분석해 언어마다 가장 많이 쓰인 단어 1만 개를 골라냈다. 이 단어들을 각 ... ...
1800대 1 경쟁률 뚫고 비목나무, 미역취 당선
2015.01.27
식물로부터 분리된 곤충 유충호르몬 대항물질들의 구조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특정 해충을 선별해서 잡을 수 있는 물질탐색기술 ... 맞춤형 신농약 후보 물질들을 찾아내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2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고릴라가 오랑우탄보다 ‘주당’인 이유
과학동아
l
2015.01.26
- pixabay 제공 인간은 언제부터 술을 마실 수 있게 된 걸까. 최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는 1000만 년 전에 일어난 유전자 돌연변이가 술을 마시게 된 계기였다는 연구가 실렸다. 미국 산타페대와 인디애나의대 연구진은 여러 영장류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인 ‘ADH4’ 유전자를 ... ...
SNS만 분석하면 가족보다 성격 잘 알아맞춘다
2015.01.14
유니버설픽쳐스인터내셔널코리아 제공 ‘누구보다 자신을 잘 이해해 주는 인공지능 컴퓨터와 사랑에 빠지는 한 남자의 이야기.’ 작년 5월 개봉한 영화 ‘그녀(Her)’ ... 결정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립과학원
회보
(PNAS)’ 12일자에 게재됐다. ... ...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심장 근육의 활력을 유지하는 데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12일자에 게재했다.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라고 부르는 이 단백질은 이전부터 뇌에서 학습과 기억, 항우울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연구진이 쥐의 심장 세포를 이용해서 ... ...
난치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가능해졌다
2015.01.11
이상규 교수(왼쪽)와 박태윤 연구원. -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난치병인 류마티스 관절염과 다발성 경화증을 부작용 없이 치료하는 치료물질 ... 후보 물질도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지난해 12월 1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활동이 저조할수록 재범률이 높게 나타난 것. 연구팀은 이 결과를 2013년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뇌에서 인지 능력이나 사회성, 질병 등과 관련된 부위는 ‘뉴로마커’로 불린다. 정용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뉴로마커는 특정 현상과 뇌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이지 인과관계를 ... ...
겨울철 감기 더 잘 걸리는 이유가, 코 때문?
2015.01.07
수 있는 이유는 콧속의 온도가 낮아 면역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5일자에 밝혔다. 연구팀은 쥐의 기관지에서 추출한 세포를 평상시 체온과 유사한 온도인 37도와 겨울철 콧속의 온도와 비슷한 33도(실내에 있을 때)에서 배양하며 라이노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을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