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가장 깊은 지하수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세계 지도가 나왔어요. 미국 럿거스대학교 잉 판 레인펠더 교수팀이 만든 지하수 깊이 지도랍니다. 지하수가 깊은 곳에서 흐르는 지역은 붉은색, 얕은 곳은 푸른색으로 표시해 전 세계의 지하수 깊이를 한 눈에 알 수 있어요.이 지도에 나타난 지하수는 지표 근처에 저장된 물인 ‘천부지하수’예요. ... ...
- 반지의 제왕 수학의 전설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해는 프랑스의 수학자 베르나르 프레니클 드 베시가 880개라고 알아냈고, 5차 마방진은 미국의 수학자 리처드 슈로펠이 1973년에 275,305,224개라고 계산했다. 그러나 6차 마방진의 개수는 현대수학으로도 아직 해결하지 못한 상태다.숫자에 감춰진 또다른 이야기“Legend of Mathematics! 반지에 쓰여 있는 이 ... ...
- 새 학기 스타는 바로 나 굿 잠으로 훈남훈녀 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않는다.스마트폰 OFF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는 ‘굿 잠’을 방해하는 장치다. 2012년 미국 렌셀러폴리테크닉대학교 빛 전문 연구소에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같은 기기를 두 시간 이상 사용하면 멜라토닌의 분비가 22%까지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머리 맡에 전자기기를 두고 자면 ... ...
- [수학뉴스] 선생님을 위한 똑똑한 수학 교구 선택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할 것 같다. 사용하는 교구에 따라서 효과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미국 노틀담대 심리학과 니콜 맥네일 교수 연구팀은 다양한 종류의 교구들이 수학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팀은 아이들에게 수학적 개념을 가르치거나 수학 활동을 시킬 때 모양과 색, 질감, ... ...
- [포토뉴스] 원숭이가 셈하는 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방식으로 사물의 양을 구별하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미국 로체스터대 인지과학과 제시카 캔틀런 교수 연구팀이 원숭이의 수학적 인지 능력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뉴욕 세네카 동물원에 살고 있는 4~14살짜리 개코원숭이 8마리를 대상으로 ...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앤드루 와일즈는 어떻게 페르마의 마지막 문제를 해결했을까?난제와 수학발전의 방식미국의 유명한 과학철학자인 토마스 쿤은 ‘과학의 진보는 연속적인 향상의 과정이 아니라, 큰 틀의 발전과 작은 틈새를 매우는 정상과학기로 구분된다’고 주장했다. 이 말은 세계관의 변화를 유발하는 중요한 ...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3년 06호
- 헝가리에서 유대인 차별정책을 벌여 고국을 떠나야만 했다.고국과 제2의 터전이었던 미국에서도 환영받지 못해서일까? 에르되시는 평생을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 대학들을 전전하며 방랑생활을 했다. 하지만 이 때문에 많은 수학자들과 교류하며 위대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견디기 힘든 ... ...
- PART 1. 테스토스테론은 진상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그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제약요소에 쉽게 동의하지 않는다. 제니퍼 위트슨 미국 텍사스주립대 교수는 권력을 가지면 ‘목표 제약 정보’에 둔감하게 된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혔다. 위트슨은 참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권력자’와 ‘약자’로 인식케 한 다음 ‘아마존 밀림지대로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따르면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세포(체세포)를 기증받은 난자(생식세포)와 결합해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 이 배아줄기세포는 원래의 피부세포 유전자와 똑같다.배아줄기세포는 수정란이 분열하면서 만들어지는 가장 초기의 줄기세포로 근육이나 ... ...
- 3차 흡연, 내 아이가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비흡연자의 차에서 3.37g/g, 0.06g/m2의 니코틴이 나온 것에 비하면 모두 높은 수치다.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연구팀의 연구결과다.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까. 이기영 서울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담배를 피울 때 흡연자의 몸, 옷 또는 폐 속에 있는 보이지 않는 담배 유해물질이 흡연을 하지 않은 ... ...
이전6466476486496506516526536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