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호흡이 빨라지며 혈관이 수축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A)이면 수면의 깊이가 2.4인데 반해 소음도가 55㏈(A)일 때는 수면의 깊이가 2.0으로 낮아져
인간
의 수면이 소음도에 영향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위에서 본 바와 같이 수면시 소음에 노출되면 수면의 깊이가 낮아지는 변화가 일어나고 심하면 깨게 된다.개인별 차이 때문에 소음도와 수면의 관계를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따라서 초저주파는
인간
이 들을 수 없는 주파수를 가진 소리라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인간
이 느낄 수 없는 것은 아니다.파동원리에서 공기의 전파속도와의 관계로 부터 λ=c/f(λ는파장, c는 음속, f는 주파수)로 정의되는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저주파수를 갖는 경우는 파장이 긴 것으로, 고주파수의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가 스코폴라민의 경피 DDS를 개발한 이래 피부를 통한 약물투여가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인간
의 몸중에서 가장 표면적이 큰 곳이 피부이므로 이 경피 DDS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서울대 약대 심창구교수는 예상하고 있다.이렇게 약을 먹지 않고 피부에 붙이면 간 장애나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하는데 이 이론은 현대 우주론의 주류다.이 질문은 결국 대폭발 이전에도 우주나
인간
이 존재했는가 하는 문제와 직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현재까지의 이론적 연구결과는 이렇다. 대폭발이전의 무한의 밀도상태는 물리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을 뿐더러 대폭발이후에 일어나는 일들과도 아무런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다시 음악의 천재인 오르페우스에게 주었다. 오르페우스가 연주하는 거문고 음색은 신과
인간
은 물론 동물까지도 넋을 잃게 만들 정도로 아름다웠다. 그것은 심지어 바람과 강물의 흐름까지도 멈추게 할 정도였다고 한다.훗날 오르페우스가 사랑하는 아내 에우리디케를 잃고 실의에 젖어 죽게 됐을 ... ...
「제4염색체」가 노화의 원인?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유전자를 마이크로 세포융합법에 의해 침투시켰다. 그 결과 노화를 유발시키는 유전자는
인간
의 제4염색체 안에 포함돼 있을 가성이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이러한 노화의 원인을 밝혀내는 작업은 대단히 중요하다. 노화에 관계하는 유잔자의 정체와 그 메커니즘을 알아내면 거꾸로 영원히 증식을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거구의 매머드가 서식하는 지역과 가까운 곳에서 살았어야 할 이유는 없다. 따라서
인간
화석이 매머드가 살던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은 것이 정상이라 생각된다.9 세계의 대륙은 생물의 독특한 분포상 여섯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지역 간에는 비슷한 환경일지라도 서로 다른 종들이 살고 ... ...
2. 교사·학생에 친근한 도구로 인식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처리능력 및 새로운 정보의 창출 전달능력의 육성 △ 정보사회의 특질, 정보화가 사회나
인간
에게 미치는 영향의 이해 △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보에 대한 책임감 △ 정보과학의 기초 및 정보수단의 특징이해, 기본적인 조작 능력의 습득을 열거했다. 이를 볼 때 신교육과정의 핵심은 ... ...
1 전화벨에서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초음속 비행기가 음속(3백40m/초)을 돌파해 비행할 때는 충격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우리
인간
에 주는 피해 이외에 건물에도 피해를 준다.항공기는 주로 활주로 주변에서 이착륙시 소음을 가장 크게 발생시킨다. ■ 생활소음/건물구조에 따라 차이생활소음이란 주택가 주변 유흥가에서 발생하는 ... ...
「울릉도까치방사」 생태계 교란우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조류 중 3분의2가 도서지방의 텃새라는 보고는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도서조류의 절종은
인간
에 의해 무심코 도입된 외래 천적포식동물때문이라는 것이다.지난 89년 모언론사에서는 제주도에 50여마리의 까치를 방사한바 있다. 같은 이유를 들어 관계학자들이 반대했지만 몇몇 사람의 공명심 덕택에 ... ...
이전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