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들은
인간
과 기계를 융합한 문명, 생체공학이 극한으로까지 발달함에 따라 변화되는
인간
의 의미 등을 끈질기게 추적하고 있다.또한 데이비드 브린(David Brin) 스탠리 로빈슨(Stanley Robinson) 등 최근들어 알려지기 시작한 과학소설계의 스타들도 스페이스 오페라가 난무하고 있는 과학소설계에서 ... ...
가축의 전염병이 야생동물에게 전파돼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않다. 또 일부 생물학자들은 적자생존과 자연선택이 들개문제를 해결할 것이므로
인간
이 지나치게 간섭하는 것은 오히려 방해가 될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 글을 읽고 있을 독자 개인의 역사가 그대로 재현될 것이란 것을 의미한다.우주는 현재
인간
의 감각과 이해로 볼 때 무한히 넓다. 우주의 어디엔가는 우리 지구의 처음 상황과 매우 비슷한 별이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별에서 일어나는 일은 비슷한, 그러나 나아가 우리 지구와 다른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사이에 태어난
인간
의 아들로 많은 모험의 주인공이 된다. 그가 얼마나 힘이 세고 건장한
인간
이었던지 훗날 제우스 신이 헤라클레스를 하늘에 올렸을 때 그 무게 때문에 하늘을 떠받치고 있던 아틀라스 신이 휘청거렸다는 전설도 있다.헤라클레스의 모험에 대한 이야기의 상당 부분은 다른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떠올랐다. 흔히 얘기되는 C&C(Computer & Communication) 개념은 이를 의미한다. 컴퓨터는 원래
인간
이 하기 힘든 복잡한 계산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컴퓨터가 가진 빠른 정보처리능력과 방대한 데이터기억능력은 통신망을 통해 전세계 구석구석까지 전달됨으로써 그 영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인식과학 등이 새로이 포함됐고, 기계공학에 있어서도 자동제어 계산기계 생산관리
인간
공학으로 그 대상이 확대됐다. 재료공학에 있어서도 화학 물리학의 발전으로 인한 신소재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점차 형상기억합금 등 신소재 연구로 그 연구대상이 옮아가고 있다. 환경 및 공해 문제가 ...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뇌속의 신경세포들이 보다 분주하게 상호작용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
의 경우에도 지적 훈련을 계속하면 뇌의 퇴화를 막을 수 있으리란 기대가 강해지고 있다.많은 연구들이 아직 진행중에 있지만 관련학자들은 연구가 진행될수록 노화와 뇌기능 퇴화에 관한 지금까지의 ... ...
뛰다가 지치면 TV보며 쉰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영상이 필요하다는 걸 발견했다. 하지만 닭이나 원숭이 고양이 몇종의 도마뱀류는 거의
인간
수준으로 초당 60개의 영상만 필요하다. 결국 이들은 동물왕국의 잠재 시청자층인 셈이다.그런데 2차원 스크린에 나타난 움직임을 지각하는 동물들이 과연 그들이 본 영상을 이해하는 지가 의문이었다. ... ...
미국정부, 우주정거장 「프리덤」계획 조정안 승인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2천년대에 4명의 인원이 영구거주할 때까지 추가로 6~9차례 있을 왕복선 파견비행동안
인간
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건설될 것이라고 한다. 또 프리덤은 인류의 마지막 개척 분야라 할 생명과학 연구를 위해서도 최대한 이용될 방침이다.그런데 몇몇 반대자들은 승무원 수가 적고 생명과학 전담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것이 이번에 연구팀이 밝힌 냄새가 뇌로 전달되는 대략적인 과정.
인간
은 대개 5감중 시각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몸이 1천냥이면 눈은 9백냥'이란 말도 그래서 나왔고 실제로 모든 정보의 80% 이상을 눈을 통해 받아 들인다. 그러나 원시적인 동물들은 시각보다 후각의 도움을 ... ...
이전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