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선 네트워크에 번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03
데이터를 전달해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목표를 갖고 있었다.그후 이 기술은
미국
을 중심으로 연구가 꾸준히 이어졌다. 또한 이 기술은 군의 작전 상황뿐 아니라 재해 발생 지역이나 재난 구조 현장 등으로 응용범위가 넓혀졌다. 그러나 처음 소개되고 상당한 시간이 흘렀지만 그 개념을 ... ...
세계 최대의 온라인 가상연구소 '이노센티브' 출범
과학동아
l
200403
수 있고, 과학자는 지적인 만족과 물질적인 보상을 함께 얻을 수 있다. 이런 장점 때문에
미국
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지난해 6월 30일 ‘세상을 바꿀 10가지 발명품’ 이란 특집 기사에서 이노센티브를 10가지 미래기술과 함께 소개하기도 했다.세계적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가 투자해 만든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03
맞추는 방정식이었다면 당장 갑부가 될만한 정확성이죠.고텀 박사는 지난 2월 13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연례학술대회에서 이 연구결과를 발표하면서 “결혼생활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상대에 대한 악의적인 말을 삼가고 상대의 말이 우습다는 식으로 입술을 한쪽으로 치켜올리고 눈을 아래위로 ... ...
흡입한 나노입자가 뇌까지 침투
과학동아
l
200402
통해 체내로 들어온 나노입자가 뇌까지 이동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로체스터대 군터 오베도스터 박사팀은 지름이 35nm(나노미터, 1nm = 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입자를 쥐에게 흡입시킨 후 그 입자의 흐름을 추적했다. 흡입한 후 하루가 지나자 후각을 담당하는 뇌의 영역인 후구에서 ... ...
체질량지수 동양인에 안맞다
과학동아
l
200402
비만도가 비슷한 서구인에 비해 각종 성인병에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시리키 쿠마니카 교수팀은 이에 따라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인 체질량 지수(BMI)를 일괄적으로 적용해서는 곤란하다고 의학전문지 ‘랜싯’에 발표했다.체질량지수는 체중(kg)을 키(m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02
잇따라 만나 자국 지지로 입장을 바꿔줄 것을 요청했다. 최근 두나라의 행보는
미국
이 일본을 적극 지원하고 러시아, 중국이 EU에 절대적인 지지의사를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결정에 따라 앞으로 상황이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한국은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현재 ... ...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02
“당장 내일 이런 일이 일어날지도 모를 일”이라고 말했다.이런 주장에 대해
미국
버클리대 고생물학자 제레 립스 교수는 “감마선폭발은 오르도비스기 대멸종을 설명하는 여러 가설 중 하나일 뿐”이라며 “가설은 검증을 받아야 인정되는 것 아니냐”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02
수출대국인 점을 감안할 때 슈퍼카 개발과 제작에는 다소 늦은 편이다. 반면 자동차 왕국
미국
을 비롯해 유럽과 일본 등 명차 브랜드들은 대부분 슈퍼카 제작에 열의를 보이고 있다. 그만큼 실험성이 강해 미래 자동차를 연구하는데 적격이기 때문이다.슈퍼카는 원래 1960년대 ... ...
6. 의료_좌변기에 앉아 건강검진 한다
과학동아
l
200402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는 가정생활에 불편을 전혀 끼치지 않고 건강을 돌봐줘야 한다.
미국
로체스터대의 스마트 의료홈 프로젝트나 일본 마쓰시다전기산업의 재택 헬스케어 시스템 등이 이런 예가 된다.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못지 않은 수준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기술이 개발돼 관심을 모으고 ... ...
우주탐사선 혜성 물질 낚아챘다
과학동아
l
200402
때 이 캡슐은 낙하산을 타고
미국
유타사막에 떨어질 예정이다.이 계획의 책임자인
미국
워싱턴대 천문학자 도널드 브라운 교수는 “혜성 물질은 태양계 생성 초기 상태를 간직하고 있다”며 “이를 연구하면 지구와 같은 행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지구에 생명체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한 ... ...
이전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