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남자에서 아빠로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자기 아이를 구별할 수 있다. 2005년에는 동물 실험으로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도 나왔다.
미국
UC데이비스 연구팀은 수컷 티티 원숭이가 새끼의 손과 팔을 많이 만질수록 뇌의 ‘체감각대뇌피질’이 커진다는 결과를 학술지 ‘대뇌 피질’에 발표했다.2010년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실린 캐나다 ... ...
알랑가몰라? 수영하는 티라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두 종 모두 중국에서 서식했던 육식 공룡이다.2005년 일부 지질학자들은 과거 바다였던
미국
와이오밍주 강바닥에서 두 발로 걷는 공룡이 수영한 것으로 보이는 발자국 화석을 발견했다. 2007년에도 스페인의 한 호수 바닥에서 1억 2500만 년 전에 생긴 두 발로 걷는 육식 공룡의 발톱 자국 화석을 ... ...
박테리아도 커피 애호가!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연간 세계 커피 소비량은 700만t. 많이 마시는만큼 버려지는 양도 많아 커피의 카페인이 물 오염의 원인으로 꼽힌다. 그런데 이제 커피를 먹고 사는 박 ...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
미국
화학회 합성 생물학’ 3월 27일자에 실렸다 ... ...
술을 마시는 이유, 맛있다고 느끼기 때문!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성분 때문이 아니라 ‘맛 그 자체’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데이비드 카레켄
미국
인디애나대 신경병리학과 교수팀은 맥주의 맛이 뇌에서 행복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나오게 한다는연구 결과를 ‘네이처 신경정신약물학’ 저널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남성 49명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대해서는 과학동아 2011년 1월호 특집 참조). 그래서 이 주제를 이용해 논문을 썼고,
미국
물리학회가 발행하는 세계 정상급 학술지인 ‘피지컬리뷰D’에 발표했다. 질량이 없는 글루온이 뭉치면 글루온의 개별 성질을 잃는 대신(마치 도토리의 특성을 잃은 묵처럼) 질량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를 ... ...
먼지는 작을수록 폐 속 깊숙이 침투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격자 사이를 쉽게 통과할 수 있다.특히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보다 더 위험하다.
미국
암학회 연구에 따르면 초미세먼지가 10μg/m3 증가하면 사망률이 7% 가량, 심혈관과 호흡기 관련 사망률은 12% 가량 상승했다.호흡 과정에서 총먼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실제로 인체에 얼마나 들어오는지 그리고 ... ...
과학으로 본 성공방정식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당신은 어떤 사람 곁에 있어야 할까. 어떤 사람이 돼야 할까.●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전
미국
시카고대 교수가 창안한 ‘플로우(몰입)’는 행복심리학 또는 긍정심리학의 대표적인 개념이다. 몰입은 게임이나 음악 연주 등에 정신 없이 빠져들었을 때의 경험이다. 시간은 빨리 흘러 자신이 무슨 일을 ... ...
맥구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올리고 있습니다.인맥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만 중요한 것은 아닌가 봅니다. 지난 2007년
미국
하버드대에서 진행한 연구에서는 비만에 인맥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습니다.서로 사회적인 관계가 있는 1만 2000명의 체질량 지수 등을 30년 동안 조사하고 친구들의 리스트와 함께 분석했습니다.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못하게 가둬놓는 방법으로 수만 분의 1K까지 온도를 낮췄다.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볼프강 케테를레 교수팀은 여기에 더해 압력을 낮추고 활발한 원자만 골라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2003년 수십억 분의 1K까지온도를 낮추는 데 성공했다.절대영도에서는 신기한 일이 ... ...
[시사] 20세기 마지막 보편주의자 푸앵카레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필즈상을 받았다. 필즈상을 받을 정도니, 쉬운 증명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1982년
미국
의 수학자 마이클 프리드만은 4차원 구의 경우를 증명해 1986년에 필즈상을 받았다.푸앵카레의 추측과 관련한 세 번째 필즈상은 러시아의 그리고리 페렐만에게 돌아갔다. 원래 푸앵카레가 알고 싶어 했던 ... ...
이전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