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똥냄새는 2억 8000만 년 전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은행나무는 오랜 시간 동안 진화하며 자신과 가까운 친척은 모두 멸종하고, 1과 1속 1종만 남았지요. 바퀴벌레와 투구게, 메타세콰이어, 잠자리, 앵무조개 등도 살아 있는 화석에 포함된답니다. 살아 있는 화석의 흔적은 꽃가루에 있다?특이하게도 은행나무 꽃가루는 동물의정자처럼 생겼어요. ... ...
- [헷갈린 과학] 아프리카 초원의 육상선수 가젤 VS 임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모험가 조셉 톰슨이 이 가젤을 발견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지었어요. 몸길이는 약 1m, 몸무게는 20~35kg이고 옆구리에 뚜렷한 검은줄이 있는 게 특징이에요. 이 검은 줄은 대부분의 가젤이 갖고 있는 특징이기 때문에 가젤과 임팔라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답니다. 임팔라는 동부와 남부 아프리카에서 ... ...
- 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모래를 사용한다고 해요. 이는 20년 전보다 3배 이상 증가한 양으로, 중국이 전체의 3분의 1이상을 차지하고 있지요. 그런데 중국은 2030년까지 도로를 짓는 데만 8억 톤의 모래를 추가로 사용할 예정이에요. 또 선진국인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물론, 인도와 베트남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모래 ... ...
- 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묘목을 심은 뒤 최소 20~30년이 지나야 피기 시작하거든요.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2011년 은행나무의 DNA를 분석해 암수를 구별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DNA에는 식물의 키와 잎 모양, 색깔 등을 정하는 유전 정보가 들어 있어요. 또 암나무에는 없고 수나무에만 있는 유전 정보가 있어서, 이를 비교해 ... ...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호흡하기 때문에 물이 고여 있으면 산소가 부족해지기 쉽지요.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가 1L 당 2.5ml이하가 되면 대부분의 바다 생물들이 살지 못한답니다. 실제로 2006년 일본 미카와만에서는 산소가 부족해진 구역이 전체 면적의 절반이 넘었어요. 이 지역은 30년 동안 매년 5억 6000만 톤의 모래가 ... ...
- 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자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계속 보시려면? Intro. 바다가 들썩들썩~, 사라진 모래를 찾아라!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Part 2. 모래, 어디에 쓰이는 걸까?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Part 5. 모래, 지켜야 할 소중한 자원 ... ...
- Part 2. 똥냄새도 전략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주원인이랍니다. 암나무에 맺힌 열매는 보통 10월이 되면 여물어 떨어지기 시작해 11월 말이면 대부분 다 떨어져요. 이후 사람들이 밟거나 외부의 힘에 의해 과육이 뭉개지면서 과육 세포가 파괴되지요. 그 결과 독성 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빠르게 빠져나와 똥냄새가 더 많이 나게 되는 거랍니다 ... ...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구에 커다란 흔적을 남기기도 해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남서쪽으로 120km 정도 떨어진 ‘브레드포트 돔’이 대표적이지요. 지구에 있는 소행성 충돌 흔적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 되고, 크기도 커요. 게다가 가장 깊답니다. 약 20억 2300만 년 전에 충돌했을 당시 소행성이 지하로 2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괴롭히는 건 빛과 산소보다도 수압이에요. 바다 깊이 내려갈수록 수압이 커지는데, 수심 1만m에서는 지상의 1000배에 달하는 압력을 느끼게 되거든요. 높은 수압은 생물의 세포를 파괴해요. 그래서 심해 생물은 수심 8200m까지만 살 수 있을 거라고 예상되고 있지요. 이번에 발견된 심해어가 바로 그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접수됐지요. 이날 지진의 규모는 5.7로, 작년 추석쯤 경북 경주에서 일어난 규모 5.1의 지진보다도 더 강했답니다. 하지만 이번 지진은 작년 지진처럼 단층이나 판이 움직인 자연지진이 아니라 사람이 만든 지진이에요. 사람들이 화약을 폭발시키거나 핵실험을 하면 ‘인공지진’이 일어나기도 ... ...
이전6536546556566576586596606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