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과일을 먹으며 살았답니다. 그러다 그 수가 점점 줄면서 100년 만에 희귀종이 되었고, 1681년 마지막 남은 도도새가 목숨을 잃었지요. 일리: 왜 멸종하게 된 거니? 도도새: 모리셔스 섬은 원래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었어요. 그런데 1505년 항해를 하던 포르투갈의 선원들이 휴식을 취하기 위해 이 ... ...
- Intro. 하늘 위로 과학 기지가 둥둥~! 기구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하늘 위로 과학 기지가 둥둥~! 기구의 변신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 ...
-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높이 23km~30km까지 올라가며 온도와 압력, 속도 등을 관측하고 사진을 찍지요. 지난 8월 21일에는 NASA와 함께 기구를 띄워 개기일식을 관측하기도 했어요. 개기일식을 보는 건 흔치 않은 일이기에 정말 놀랍고 신기했지요! 우리가 찍은 사진과 자료는 NASA의 개기일식 연구에 사용될 예정이랍니다. Q.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북반구와 남반구를 주기적으로 왕복하게 돼요. 그 모습이 같은 시각, 같은 위치에서 1년간 태양의 위치를 촬영하여 기록했을 때 8자 모양으로 나타나는 ‘아날렘마 현상’과 같아서 아날렘마 타워로 불리게 되었지요. 건물 안은 지상에 지어진 건물과 비슷해요. 쇼핑 시설과 사무실, 농업 구역, 거주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지구 대기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할 수 있거든요. NASA의 린 챔버 박사는 “이번 일식 동안 1만 500명 이상의 시민들이 데이터를 올려 줬다”고 전했어요. 이어 “아직 이번 데이터를 분석 중이지만, 보통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기온이 2℃ 정도 떨어지고 일부 지역에서는 수℃ 이상 떨어지기도 한다”며, ... ...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테이프 등으로 매우 간단해서 많은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지요. 지난 2015년 11월 18일에는 미국 뉴멕시코주의 화이트 샌즈 사막에서 7명의 사람들이 에어로센을 타고 2시간 15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어요. 화석 연료나 태양 전지판, 헬륨, 배터리 없이 오직 공기만을 이용해 가장 ... ...
-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초고층 빌딩을 넘어 우주로! 슈퍼 엘리베이터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Part 2.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꼭대기까지 빠르게!Part 3. 인공지능으로 똑똑하게!Part 4. 로프 없는 엘리베이터, ‘MULTI’ 등장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 ...
- Part 2. 초고속 엘리베이터로 꼭대기까지 빠르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중심으로 속도 경쟁이 불붙고 있어요. 보통 건물을 지을 때 1층부터 가장 높은 층까지 1분 안에 도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엘리베이터의 속도도 빨라야 하지요.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엘리베이터 카를 끌어올리는 권상기의 힘을 세게 해야 ... ...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왕모기가 알려져 있는데, 광릉왕모기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유일한 왕모기지요.크기는 1.5~2.0cm로 보통 모기보다 훨씬 크답니다. 주로 숲이나 산 속의 나무 구멍, 대나무 그루터기, 길가의 폐타이어 등 작은 물웅덩이가 있는 곳에 살고 있어요. 정말 다른 모기를 잡아먹니? 최근 고려대학교 배연재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원인 중 하나예요. 이 병에 감염된 참나무는 잎이 서서히 마르다가 결국 죽게 돼요. 2013년 북한산에서는 전체 참나무의 59%인 약 158만 그루가 이 병으로 피해를 입었지요. 그런데 하늘소는 시든 참나무를 보금자리로 삼아요. 힘이 약한 나무의 껍질을 뜯어서 그 안에 알을 낳고, 여기서 깨어난 유충은 ... ...
이전6566576586596606616626636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