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05
그리 녹녹한 일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일이 더 매력적일 수도 있다. 적어도 송익호
교수
에게는 그런 모양이다. 콘택트의 주인공 엘리 애로위가 우주의 신호를 들었던 것처럼 천문학자들이 우주의 신호를 읽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꿈이 있기 때문이다 ...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0105
받은 1933년 히틀러가 정권을 장악하자 슈뢰딩거는 영국으로 건너가 옥스퍼드대학
교수
가 됐다. 심한 향수병에 시달리다가 1936년 고국의 그라츠대학으로 옮겼으나, 1938년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합병되자 또다시 망명길에 올라 미국의 프린스턴대학 그리고 나중에 더블린대학으로 옮겼다.이후 ... ...
컴퓨터와 센서 이용한 가상 지휘 연습기
과학동아
l
200105
그러면 학생은 자신의 지휘 동작의 잘못된 점을 곧바로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다.또한 힐
교수
팀은 실제 오케스트라 지휘 연습을 위해‘디지털 재킷’을 이용하고 있다. 이 재킷을 착용하면 지휘자의 움직임에 따라 오케스트라의 연주가 달라진다. 재킷에는 오케스트라 연주를 담당하는 수십대의 ... ...
장애아 애덤 킹의 아름다운 시구
과학동아
l
200105
의공학자가 되려고 하는 최초의 한국인일 것”이라고 말한다.한편 포항공대 최현기
교수
에 따르면 미국은 주요 의공학 연구소가 병원과 연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의공학의 결과물을 실제로 이용하는 사람은 의사이기 때문에 병원과의 연계성은 매우 중요하다.미국의 또다른 특징은 여러 의공학 ... ...
로봇공학
과학동아
l
200104
물론 로봇공학은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등이 밑받침된다는 점도 장점이지요.”이
교수
는 5-10년 후에 지금의 애완용 로봇이 가격이 낮아져 보편화될 것이고, 10-20년 후에는 청소를 하거나 설거지를 하는 서비스 로봇이 보편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나아가 50년 후가 되면 눈 귀 손 발 등이 동시에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04
영향을 미쳤던 사람은 중학교 2학년 때 만났던 김승진이라는 이름의 동네형(지금은 대학
교수
라고 한다)이었다. 정단장이 학교를 다니던 때는 유치원에서 중학교까지 시험을 쳐서 입학하던 시절이었다. 부모님의 성화에 못이겨 과외를 하며 명문 중학교에 합격했는데, 이후에 정단장은 자신의 할 ... ...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04
인공효소에 관한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서정헌
교수
가 있다. 서
교수
는 앞으로 주문제작형 인공제한효소를 만들 야심찬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암이나 에이즈를 일으키는 유전자의 특정부위만을 잘라내고, 혈액 속의 유전자로 미래에 갖게 될 질병을 예측할 수 있는 DNA칩에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
과학동아
l
200104
1951년까지 코넬대에서, 1951년부터 1988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는 캘리포니아 공대에서
교수
로 일했다. 양자전기역학 이론을 정립한 공로로 1965년 슈빙거(미국)와 도모나가(일본)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그는 물리학자로서는 많은 양의 저술을 남긴 편에 속하는데, 그 중에서도 ‘파인만의 ... ...
제9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전갈자리
과학동아
l
200104
어색한 사진은 심사과정에서 탈락됐다.한상봉씨의 전갈자리에 대해 심사위원장 강영운
교수
(세종대 지구과학과 천문학 전공)는 “예년에도 많이 출품됐던 안드로메다은하보다 더 좋은 점수를 받았다”고 심사평을 밝혔다. 또한 대상 수상작품은 국내에서 보기 드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올해로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04
필요한 실용적이고 검증된 과학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현재 연구단에는 조영호
교수
를 중심으로 6명의 박사과정과 4명의 석사과정 연구원이 이런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고 있다 ... ...
이전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