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104
한다. 지금도 힘들 때면 전
교수
를 떠올리며 자신의 마음을 다잡는다고 말했다.“전
교수
님은 제게 ‘이게 바로 경쟁력이구나’라는 느낌을 갖게 해준 분입니다. 그 분을 만난 덕에 제 자신의 경쟁력도 더욱 키워나갈 수 있었던 것 같아요.”미국의 토론문화 본받고 싶어그는 미국에서 공부하는 동안 ... ...
생명의 파노라마
과학동아
l
200104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사회·문화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허버드대
교수
를 역임하고 미국 국가과학아카데미의 생화학 분야 회원으로 있는 과학저술가 말론 호아글랜드와 과학분야 전문일러스트레이터인 버트 도드슨은 ‘생명의 신비와 아름다움’에 감동해 서로에게 정보를 교환하며 ... ...
철로와 바퀴 상태 알아내는 광섬유 센서
과학동아
l
200103
기차의 위치와 속도를 알아내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일리노이대 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인 추앙 선리엔은 “이 장치는 광섬유로 신호가 전달될 때 손실되는 신호를 펄스탐지기술을 이용해서 거리의 함수로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했다”고 센서의 적용 원리를 설명했다.이 외에도 광섬유가 휘어지면 ... ...
비타민 C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200103
대한 예방 효과를 다룬 내용을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 생화학과
교수
이자 라이너스 폴링 연구소 이사인 발츠 프레이 박사는 “하루에 5백mg 이상의 비타민 C를 섭취하면 뇌졸중과 심장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비타민 C가 뇌졸중과 심장질환의 위험을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03
대해 상당히 말을 조심하는 듯하다.20여년 동안 나노과학을 연구해온 서울대 국양
교수
는 “현재의 나노과학에 대한 열광은 지나치다. 에릭 드렉슬러와 같은 이들의 주장은 상당히 허구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현재 나노과학은 단지 무수한 가능성만이 열려 있는 상태다. 언제쯤 나노세계가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03
토론식 수업 도입해야2001학년도 서울대 면접구술고사의 자연대출제위원장으로 알려진 K
교수
는 수험생들이 약간 황당해하는 문제에 대해“평소 자연과학도가 되려는 학생이라면 한번쯤은 생각해봤을 내용”이라며“무조건 외우는 공부보다 재미있는 공부를 하라”고 강조했다.과학교과서에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03
대한 연구도 있다. 지난 199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마린다 의대 리 버크와 스탠리 탠
교수
팀은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정상상태의 혈액과 1시간 동안 코미디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한 후의 혈액을 비교했다.그 결과 세균에 저항할 수 있는 백혈구와 항체 생성에 중요한 구실을 하는 단백질 글로블린이 ... ...
감이 사과보다 심장병 예방에 더 좋아
과학동아
l
200103
사전 연구에서, 감이 쥐의 대사를 원활하게 도와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린스테인
교수
는 "감은 섬유질, 페놀, 미네랄 함유 농도가 높아 항동맥경화증에 효과적인 과일이지만, 사실 동맥경화증을 막아주는 화합물이 대부분의 과일에 함유돼 있어, 과일은 심장병 예방에 유용한 식품"이라고 말했다 ... ...
양자역학 뛰어넘은 플라스틱 LED
과학동아
l
200103
최대 25%라고 예측한다.그런데 영국의 과학 잡지 네이처 2월호에 미국 유타대 발데니
교수
팀이 전도성 고분자와 유기물질로 만든 플라스틱 LED를 사용해 전기의 41-63%를 빛으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는 실험결과가 실렸다.LED는 음극에서 내놓은 전자(-)와 양극에서 내놓은 정공(+)이 서로 결합하면서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03
시기에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 알리비사토스
교수
, 맥퀸
교수
, 하버드대 박홍근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지름이 0.7nm인 60개의 탄소로 이뤄진 축구공 형태의 ${C}_{60}$ 화합물인 풀러렌을 이용해서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전극간의 거리가 약 1nm로 현재 한개의 전자로 구동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