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4. 반도체 제조·오염물질 처리에 획기적 활용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MHD발전을 운영하면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움직이는 기계
부분
이나 보일러가 필요 없는 직접 발전형태이며,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을 갖고 있다.또한 자기장 속에서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이 도체는 자기장과 전류의 방향에 수직으로 힘을 받는다. 이 힘으로 분출되는 ... ...
1. 사용자 신체·심리 특성 맞춰 제품 만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힘쓰고 있다. 앞으로 국민학교에서부터 인간공학의 개념을 가르치며 이공계 대학의 대
부분
학과에서도 기본적인 내용이 강의될 수 있다면 우리의 삶과 노동의 질이 조속히 향상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상상해 본다 ... ...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운반상의 문제가 음식물 찌꺼기의 사료화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사료의 상당
부분
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사료화는 매우 바람직한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분야다.음식물 쓰레기 사료화는 물리적인 처리로 간단히 이루어지는데, 열처리 탈수 건조분쇄 품질조정 가공 ... ...
3 신비스런 5각형·6각형의 조화 풀러렌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최근 기하학적 입체 구조 풀러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5각형과 6각형이 조화를 이룬 지오메틱 돔인 풀러렌은 탄소60의 등장 이후 텅스텐 티탄 구조에서도 ... 있는 것이 분명하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물질의 기하학적 존재로서 그 전체상의 일
부분
만이 우리들에게 보여진 것일 뿐이다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양보다 쌓이는 눈의 양이 많게 되고, 이어 얼음으로 변해 점차적으로 빙하가 지구의 많은
부분
을 덮게 된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쌓인 빙하는 약 10만년 후 점차 퇴각해 향후 약 1만년 동안 간빙기에 위치하다가 다시 빙하가 저위도로 확장된다고 과학자들은 주장했다.그러나 최근 대서양의 해저 ... ...
아기염소 세마리 거느린 카펠라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유일한 별이다. 이 별의 원반 지름은 최소한 1천AU정도이며 우리 태양계에서 처럼 그 안쪽
부분
에서는 먼지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이 곳이 행성이 존재하는 영역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지구의 관측자는 이 원반의 옆면을 보고 있다(그림참조).최근 남서연구소 레비슨 등은 이 별 주위에 혜성이라고 ... ...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아미노산은 빛을 좌측으로 돌리는 L체만으로 구성돼 있다. DNA의 아미노산도 L체지만 당
부분
은 빛을 우측으로 돌리는 D체다.자연계는 왜 우와 좌 어느쪽을 선택하는가. 여기에는 만족스런 해답이 마련돼 있지 않다 ... ...
남극, 녹색 대륙으로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남극대륙의 서경 60°-70° 사이에 있는 지역으로 남미대륙을 향해 꼬리처럼 돌출된
부분
이다. 남극 동부에 비하면 기후가 온난한 지역이다.그러면 왜 생존환경이 혹독한 남극에서 고등식물종자가 이렇게 자랄 수 있는 것일까."남극에 식물이 생장할 수 있는 기간은 12월부터 2월까지 여름에 한정되어 ... ...
1 노화유전자 프로그램설 유력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형태지만, 손가락들 사이의 세포들이 아포토시스과정을 거쳐 스스로 죽음으로써 남은
부분
이 손가락이 된다.노화유전자의 존재를 찾는 과정에서 미국립노화연구소 마이클 로즈 박사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 그는 생식발달이 늦은 초파리만을 모아 교배하여 만들어낸 개량 초파리로 초파리의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2백㎜이상의 망원경으로는 희미한 나선팔을 발견할 수 있으나 작은 망원경으로는 핵
부분
만 6' 정도의 크기로 보인다. 1993년에 초신성이 발견되었다. M82는 불규칙 은하 중 가장 밝은 것으로(마젤란 은하 제외)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오히려 M81보다 쉽게 찾을 수 있는데, 희미한 빛덩이가 동서방향으로 ... ...
이전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