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신성 1987A 둘러싼 3개 고리 생성 논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불꽃의 지속시간으로부터 고리가 껍질의 일부인지, 아니면 오래 지속된 원반의 안쪽 끝
부분
인지 확실해질 가능성이 많다. 더욱이 안쪽 고리가 충돌하면 바깥쪽 고리에 지금은 보이지 않는 여러가지 현상들이 일어날지 모른다. 초신성 주위의 3차원 구조가 드러나면 우주 드라마의 1%는 완성될 것이다 ... ...
컴퓨터 바이러스 새 치료법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소프트웨어의 대식세포로는 쉽게 바이러스를 포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 미끼 프로그램
부분
을 들 수 있다. 감염을 쉽게 하는 하나의 방법은 컴퓨터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빈번하게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다. 파일의 읽기 쓰기 복사에 의해 전자적 면역세포프로그램은 대식세포가 외래의 미생물을 찾아 ... ...
3. 정보고속도로·방송, 대혁명 눈앞에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변조로 방송하고 있다. 국내에서 수신할 수 있는 일본이나 홍콩의 위성 TV방송이 대
부분
이 방식에 속한다.하지만 만약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면 영상 데이터의 압축이 가능해 1개 위성 채널로 3-10개의 TV프로그램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지털의 특성을 살려 더욱 선명한 화질이 제공될 뿐만 ...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가능하다.페인트는 이전에 비해 큰 변화는 없지만 메뉴를 살펴보면 특색있게 바뀐
부분
을 찾을 수 있다. 페인트의 그림을 바로 월페이퍼(Wall Paper)로 바꾸어 주는 기능으로 월페이퍼 센터, 타일 등을 메뉴에서 바로 지정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기본컬러를 변경하는 기능도 페인트 자체에서 지원한다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질서정연하게 조립되어 결정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완벽한 결정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
부분
표면에 결함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결정들은 실제로 크기가 유한하고 특정한 모양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점토의 미세한 결정이 지니는 크기와 모양은 개별 결정의 특징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결정의 ... ...
생물 - 식물의 호르몬, 꽃눈 형성·생장 촉진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줄기나 뿌리의 끝에서 합성되는 생장 억제 물질이 자극에 따라 끝
부분
에서 축에 대하여 가로 이동하고, 이것이 생장 부위에서 생장의 차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줄기에서는 옥신이 중력의 자극쪽(아래쪽)에 모여 생장을 촉진하므로 위쪽으로 굽고(음성 굴지성), 뿌리에서는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숫자를 크게 앞지른 반면 거의 기생충이 없는 호수에서는 무성생식형이 집단에서 더 큰
부분
을 차지했다. 확실히 보다 많은 기생충이 달팽이를 핍박하면 할수록 성에 대한 동기는 더욱 커졌다.만약 세상에 병원체가 없다면 많은 종들에게서 무성생식형 클론이 우세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 ...
6. 일부일처 가족제 최선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한다. 왜일까.동물행동학에서는 인간의 동물적 특성을 동물의 행동 연구를 통해 상당
부분
해석하려 시도한다. 특히 유인원의 생활연구는 인간의 성과 가족의 기원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다.미국의 인류학자 헬렌 피셔는 독특한 가족과 결혼에 대한 해석으로 미국과 일본 등지에서 성가를 ... ...
마비된 신체기능 전기자극으로 회복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않게 된다.근착 '쿼크'지에 따르면 일본 도후쿠대학 의학부와 공학부 공동 연구진은 목
부분
을 손상한 43세의 남성을 치료했다. 그는 어깨를 움직이거나 무릎을 굽힐 수는 있지만 손목과 손가락은 마비돼 그 이상의 회복은 어렵다고 진단받은 환자다.연구진은 이 환자의 손가락과 손목근육 20군데에 ...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0}^{-15}$g. 실제로 새로운 물질을 만들었을 때 아주 작은 양밖에 얻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대
부분
이다. 이때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다면 단시간 내에 정확한 실험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초미량 원소가 얼마만큼 들어있는지를 살피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튀어나온 광전자를 이용해 내부의 원소들이 ... ...
이전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