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캔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캔, 알루미늄 캔, 스팸 통조림 등으로 다양하게 변신하며 우리 삶에 녹아들게 됐답니다.초기에는 캔을 직접 손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제작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그러다 1840년대 자동화 기계가 발명되며 캔을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됐어요. 캔은 튼튼하고 음식을 오래 보관할 수 있어 전쟁 ... ...
- [이달의 과학사] 긴급전화 119, 언제 만들어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있어요.재난신고에 ‘119’라는 번호가 도입된 데에는 일본의 영향이 컸어요. 20세기 초,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우리나라의 전화 사업을 통제하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당시 원하는 곳으로 전화를 걸려면 전화를 연결해주는 ‘교환수’를 거쳐야 했습니다. 전화를 걸면 교환수가 전화를 받아 통화를 ... ...
- [헬라세포] 100년 만에 보상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실험에 쓰인다는 사실을 가족들이 몰랐다는 거예요. 헨리에타 랙스가 치료받던 1950년대 초에는 세포를 채취하고 실험용으로 쓰기 위해 본인이나 가족의 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었거든요. 유가족들은 기자들이 헬라세포를 취재하러 찾아온 1975년경까지 헬라세포의 존재뿐 아니라 헬라세포가 ... ...
- [통합과학 교과서] 운석 나와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거리는 약 2950km로, 서울에서 괌까지의 직선거리와 비슷하답니다. 이때 소행성의 속도는 1초에 12.7km를 갈 정도로 엄청나게 빨랐어요. 더 놀라운 사실은 소행성이 빠른 속도로 지구와 가까운 거리를 스쳐 지나갈 때까지 그 누구도 소행성의 존재를 눈치채지 못했단 거예요. 미국 캘리포니아 팔로마 ... ...
- 장맛비만 54일 역대급 긴 장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내린 비의 양은 750mm로(8월 9일 기준), 연평균 강수량(1400mm)의 절반 수준에 달했죠. 8월 초에는 태풍 하구핏에서 변질된 저기압에서 수증기까지 더해졌어요. 하구핏이 북상하기 전에 점차 힘이 약해지면서 소멸되었고, 꽉 쥐고 있던 열과 수증기를 방출한 거예요. 이 방대한 양의 열과 수증기가 ... ...
- 열려라, 우주 개척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아직 모양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깡통 모양의 우주선 시제품이었지만, 45초간의 수직 비행을 멋지게 마쳤어요. ‘SN5’라는 이름의 우주선 시제품은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보카치카 발사 시설에서 약 150m 정도를 수직으로 날아오른 뒤, 다시 착륙했답니다. 이번 시험은 스타쉽의 이륙 가능성을 ... ...
- [이달의 과학사] 존 스노의 ‘감염지도’, 런던을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7호
- 생각했어요. 런던의 의사였던 존 스노는 콜레라의 원인을 직접 알아보기로 했어요. 9월 초, 존 스노는 동네 교회의 부목사였던 헨리 화이트헤드와 함께 환자의 집을 방문하며 환자가 감염 전 어떤 활동을 했는지 조사한 ‘감염지도’를 만들었죠.그 결과, 콜레라 환자 대부분이 브로드 가에 있는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얼굴이 많다면 흑인을 범죄자로 판단할 확률 또한 당연히 증가하겠지요. 실제로 올해 초 미국의 디트로이트시에서 이런 일이 일어났어요. CCTV에 찍힌 얼굴을 분석하여 로버트 윌리엄스라는 흑인을 절도죄로 체포했는데, 알고 보니 범인은 전혀 다른 사람이었어요. 얼굴인식 기술의 오류로 무고한 ... ...
- 대벌레 떼의 등장! 다 이유가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해맞이공원입니다. 해발 209m의 낮은 산으로 은평구민이 자주 찾는 산책로인데요. 7월 초부터 이곳 해맞이공원에 등장한 대벌레떼로 인해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대벌레는 생각보다 나쁜 곤충이 아니라고요! 저! 대벌레 기자가 대벌레에 대한 오해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지금껏 과학자들은 치아 법랑질의 정확한 구조와 특징을 알지 못했어요. 그러다 지난 7월 초,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재료학과 과학자들이 치아 표면의 법랑질을 원자 수준으로 자세하게 촬영하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치아를 관찰하는 데에 ‘주사전자현미경’과 ‘주사투과전자현미경’을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