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용어 따라잡기] 미뢰, 소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구간을 ‘가청 주파수’라고 하고, 진동수가 1초에 2만 번 보다 많아 들을 수 없는 소리를 ‘초음파’라 한답니다. 용어정리*Hz(헤르츠) : 진동수의 단위 ... ...
- [과학뉴스] 50원 동전만 한 바퀴벌레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로봇은 압전효과*를 이용해요. 전기를 가하면 기계적 변형이 생기며 로봇이 움직이지요. 초속 30cm의 속도로 네 발로 움직여, 1초 만에 몸길이 2.25cm의 약 14배 거리를 이동해요. 또, 무게가 약 0.3g으로 매우 가벼운 해머 주니어는 자신의 10배 무게인 3.5g의 물건을 들고 이동할 수 있어요.연구를 이끈 ...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얼음 위에서 휴식을 취하는 해표, 얼음 주위를 돌며 사냥하는 범고래, 가끔 불어오는 초속 20m의 눈보라 등을 보면 주머니 속 카메라를 꺼낼 수밖에 없습니다. 절로 눈이 돌아가는 곳이죠. 하지만, 남극은 기상이 변화무쌍해 승조원으로서 긴장을 놓을 수 없습니다. 제 임무는 안전한 연구와 보급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재질의 초전도 자석이 적용된 최초의 장치다. KSTAR의 초전도 자석 실험 결과는 ITER 초전도 자석을 개발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KSTAR가 보유한 플라스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차원 자장코일 방식’도 핵융합 발전에 필요한 핵심 기술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3차원으로 배치된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것은 2011년부터다. 당시 활용된 슈퍼컴퓨터 ‘크라켄(KRAKEN)’은 0.06PF(페타플롭스·1PF는 초당 1000조 번의 연산처리를 수행)급으로, 플라스마의 미세난류와 불안정성 등을 분석하고 고성능 플라스마 운전조건을 탐색하는 데 활용됐다. 새로 추가된 카이로스의 연산능력은 크라켄보다 약 25배 향상된 1.5 ... ...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높일 수도 있겠지만, 상대방을 공격하는 감정이라면 폭력이 되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2010년 마틴 타이커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은 어린 시절 언어폭력을 겪은 성인의 뇌가 어떤 특성이 있는지 분석했다. 타이커 교수는 부모의 신체적, 언어적 학대 없이 자랐으나, 또래에게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하는 분자 특성을 학습하는 데 2일, 그 뒤 분자 하나를 분석하는 데 1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분의 1초)도 걸리지 않았다. 보통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는 분자 하나를 분석하는 데 수일이 걸린다. 그가 더 놀랐던 부분은 대회에서 1, 2, 3등을 차지한 팀이 제출한 알고리즘이 모두 트랜스포머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엔진은 발화 후 목표 연소시간인 140초를 넘어서 151초간 안정적으로 연소된 뒤, 상공 200km 이상 고도까지 도달했다가 제주도에서 일본 오키나와 사이에 있는 공해상에 떨어졌다. 우리 독자기술로 개발한 75t급 액체엔진의 비행 성능이 확인된 것이다. 시험발사체의 성공 발사는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뤄진 입자 다발을 약 2500번 차례로 던지면 27km의 긴 고리를 다 채울 수 있어요. 그러면 1초마다 최대 4천만 번씩 충돌이 일어나지요. 그 결과 여러 입자들이 나오면, 충돌 지점 주변에 있는 ‘검출기’가 입자의 에너지 등을 측정해요. 검출기는 매우 작은 입자들의 특징을 어떻게 잡아낼까요? 7월 1 ... ...
- [한페이지 뉴스] ‘이이제이(以夷制夷)’ , 땀으로 땀 배출 막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그 결과 미세 유리관 출구 부분에 땀이 맺히기 시작한 지 3분 30초 만에 인공 땀 속 화학물질들이 결정을 이룬 겔 형태의 물질이 형성됐다. 겔 형태의 물질은 미세 유리관 출구를 막아 땀이 새어나오지 않게 했다. 인공 땀을 밀어내는 압력을 높여도 땀은 나오지 않았다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