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게임을 만들어보려고 유튜브 튜토리얼을 하나씩 따라 하며 공부했는데, 코딩의 기초를 배우기에 꽤 괜찮은 전략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코딩 실력이 많이 늘어 다양한 주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Q 한국 아이돌 그룹의 안무를 분석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K팝은 지난 몇 년간 제게 큰 행복이었기 ... ...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3세대 DNA 해독 기술의 위력이 빛을 발했다.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은 미니온 장비로 코로나19를 일으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RNA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독해 국제학술지 ‘셀’ 5월 1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ell.2020.04.011 각국 ...
- 수만 대의 군집 위성에 천문학자들이 화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뻔했다고 추측했답니다.스페이스X의 일론 머스크는 “스타링크로 세계 어디에서나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했어요. 한편 천문학자들은 이로 인해 천문학의 발전이 더뎌질 가능성이 높다고 걱정하죠. 앞으로 기업가와 과학자들은 서로 머리를 모아 조화롭게 우주 공간을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북소리의 높낮이를 정하는 건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높여요. 또 몸통이 작아도 진동수가 높은 고음을 더 많이 울리지요. 여기서 진동수란 ‘1초 동안 진동한 횟수’를 뜻해요. 진동수가 클수록 높은 음이, 작을수록 낮은 음이 난답니다. 그래서 북의 막 부분이 팽팽할수록, 몸통이 작을수록 높은 음이 나는 거예요. 정크 야드 드러머로 소리의 차이를 ... ...
- [통합과학교과서] 집에 또 불이 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이를 ‘냉각소화법’이라고 합니다. 또다른 방법은 산소를 차단하는 거예요. 불이 붙은 초에 큰 컵을 씌우면, 컵 안에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이내 불이 꺼져요. 이처럼 산소를 차단해 불을 끄는 방법을 ‘질식소화법’이라고 해요. 만약 부엌에서 요리를 하던 도중 기름에 불이 붙었다면 ... ...
- [수학뉴스] 거리두기 강화해야 코로나19 전파 억제한다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공동 주최한 코로나19 온라인 포럼에서 거리두기 효과로 2020년 7월 초까지 국내 감염 확률이 약 4분의 1로 낮아졌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한 겁니다.정 교수팀은 기존의 감염병 전파 모형인 SEIR 모형에 격리와 행동변화(거리두기)라는 요소를 반영한 새로운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런 뒤 바이러스 ... ...
- [특집] 두 장, 더 깨끗한 화장실, 더 빨리 이용하기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남성이 함께 사용하는 ‘성중립화장실’의 평균 대기시간은 여성이 1분 27초, 남성이 58초로 시간의 차이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 ...
- 2020 화성 탐사 레이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H2A 로켓이 붉은 화염을 내뿜으며 하늘로 솟구쳤다. 여기에는 아랍에미리트(UAE) 최초의 화성 탐사선 ‘아말(Al Amal)’이 실려 있었다. 아말은 오전 8시 10분경 지상 수신국에 첫 신호를 보내며 순조롭게 화성으로 가고 있음을 알렸다. 중국도 7월 20~25일 중 자국의 우주개발 역사상 처음으로 화성에 ... ...
- to MARS #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서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화성 임무와 가까운 미래에 계획된 임무는 과학적인, 특히 행성 과학(planetary science)에 초점을 두고 있다. 행성 과학의 가장 큰 목적은 지구 밖 생명체를 찾는 것이다.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혼자인가’ 등 인간을 포함한 생명체의 기원에 대한 답을 화성 탐사에서 찾을 수도 있다.화성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1939년 전자 현미경이 개발되고 나서야 제대로 관찰할 수 있었고, 인류 역사상 최초로 발견한 바이러스로 기록됐습니다. 현미경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욱더 많은 바이러스를 관찰해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바이러스는 생물학적으로 굉장히 특이한 존재입니다. DNA 혹은 RNA 같은 유전 정보를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