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MRI, 양자컴퓨터, 인공고기… 첨단기술 속 브릭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브릭을 이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실제로 장영재 KAIST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교수는 2013년부터 현재까지 자동화 시스템을 가르치는 ‘제조 프로세스 혁신’ 수업에서 학생들이 브릭을 이용해 컨베이어벨트를 비롯한 산업 설비를 직접 만들도록 교육하고 있다.장 교수는 “시스템 설비가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안에서도 공부나 연구에 도움이 될 만한 아르바이트가 꽤 많았다. 최근에는 운 좋게 같은 학과 연구실에서 연구 보조 아르바이트를 하게 됐다. 일주일에 10시간 정도 연구를 하면서 한 달 4만 엔(약 44만 원) 정도의 수입을 얻고 있다. 물가 비싸기로 유명한 도쿄에서 그럭저럭 잘 살아남은 셈이다 ... ...
- [한페이지 뉴스] “해바라기꽃으로 Go!” 꿀벌도 훈련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미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월터 파리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 생물다양성 및 실험생물학과 교수는 “꿀벌의 채집 활동을 (특정 식물에) 편향되도록 유도해 작물 수확량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아몬드, 배, 사과 등 다양한 작물의 냄새를 모방한 화합물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이번 증명은 해석학과 대수학을 연결하는 새로운 다리를 놓았다고 평가돼요. 해석학과 대수학은 서로 아주 거리가 먼 수학 분야인데 전혀 다르다고 생각했던 두 분야 사이의 연결 고리를 찾은 거예요. ‘곱셈표’라는 대수적인 구조로부터 ‘미분 가능한 정도’라는 해석학적인 구조를 복원할 수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우리는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가는 걸까요? 19세기 프랑스 화가 폴 고갱이 던졌던 이 질문은 철학적인 듯 들리지만 과학적이기도 해요. 인류가 탄생하기 전으로, 지구가 만들어지기 전으로, 별조차 생기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우주가 태어났을 무렵을 밝히는 것이야말로 저 같은 핵물리학자를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얼마나 논리적으로 탄탄하게 만들어졌는지 느끼게 될 것이다. 이무성 KAIST 물리학과 시간역행반사연구단 및 의광학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고해상도 현미경 기술 개발, 광학 집게를 이용한 세포 역학 연구 등 의광학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lkaamo@kaist.ac.kr 용어정리 ...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에 실렸다. doi: 10.1016/j.marpolbul.2020.111514해양 오염물질을 연구하는 한양대 해양융합학과 연구팀은 부검한 참고래에 축적된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을 연구 중이다. 해양 상위 포식자인 고래의 지방과 근육층에는 농약 성분인 DDT(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와 PCB(폴리염화비페닐)과 같은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바뀐다. 이것이 ‘언어의 뇌과학’의 저자인 알베르트 코스타 스페인 바르셀로나대 심리학과 교수가 수많은 사례를 검토하고, 여러 실험을 직접 진행하며 내린 결론이다.코스타 교수가 진행했던 실험 하나를 보자. 외국어를 쓸 때 위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는 걸 확인하고자 두 가지 복권을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새로운 표준으로 살 것”2020 사이언스 바캉스는 양자역학 연구자인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가 특별 사회자로,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 이재담 울산대 의대 교수 등 두 전문가가 패널로 함께 했다. 5월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한 송 교수는 최근 화제가 된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남녀 뇌, 중요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글 아리 버코위츠 미국 오클라호마대 생물학과 교수 ※ 편집자 주 각계 연구자의 글을 싣는 비영리 매체 ‘The Conversation’에 게시된 글로 저작권 규정(CCL)에 따라 번역, 재게시했습니다. 남녀의 뇌 차이를 연구하기 시작한 건 19세기, 미국 의사인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