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합
혼화
믹스
합성
조립
화합
섞기
d라이브러리
"
혼합
"(으)로 총 1,135건 검색되었습니다.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하는 DNA의 경우, DNA칩의 유전자와 둘 모두 반응하기 때문에 그 유전자는 빨강과 초록의
혼합
색인 노랑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정상 벼에서만 기능하는 DNA는 빨갛게, 가뭄 벼만의 DNA는 초록으로 표현된다. 이를 통해 가뭄시 발현되는 유전자가 어떤 것들인지를 눈으로 알 수 있다.한편 단백질 차원의 ... ...
우주에서 만들어진 생명의 씨앗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물, 메탄올,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2 : 1 : 1 : 1 : 1의 비율로
혼합
한 물질에서 16가지의 아미노산을 각각 합성한 점.특이하게도 물을 풍부하게 공급한 베른슈타인 박사팀의 실험이 그렇지 않았던 카로 박사팀의 실험보다 더 적은 수의 아미노산을 발생시켰다.미국 샌디에이고 소재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차이에 의해 분리하는 방법이다. 싸인펜으로 쓴 글씨가 물에 번져 분리되는 것처럼
혼합
기체가 조금씩 움직이면서 아주 미세한 성분으로까지 분리된다. 질량분석기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한 소변 속의 마약성분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가속시킨 이온이 자기장을 지날 때 변화하는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하지만 역시 다양한 화합물을 대량으로 합성하기에는 적합치 않으며 반응시간도
혼합
분리법보다 많이 소요된다.다시 전통으로 회귀조합화학 합성기술은 지금까지 신약개발의 첫단추인 다양한 화합물 확보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 지난 1980년대 이후에는 화합물을 분석하는 기술이 발전했고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습하다는 공기의 경우를 우선 살펴보자. 공기는 80%의 질소와 20%의 산소가 주성분인
혼합
물이다. 그런데 질소는 끓는점이 -1백96℃, 산소는끓는점이-1백83℃이다. 따라서영하 1백℃의 저온에서도 공기는 액체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습하다는 성질을 가졌다고 보기 어렵다.한편 공기가 뜨거운 성질을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강제로 증발시켜 극저온을 얻는 방법을 증발냉동이라고 한다.한편 헬륨3과 헬륨4를
혼합
해 강제 증발시킬 경우 더욱 낮은 온도인 mK(${10}^{-3}$K)까지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한 냉동기를 희석냉동기라 부른다.증발냉동의 한계인 mK보다 낮은 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자기냉동이 이용된다.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필요하다.현재 탯줄혈액을 이용한 이식수술은 두가지 이상의 조혈모세포를
혼합
해 이식하는 방법을 쓴다. 이 방법이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한가지 조혈모세포만 이식하는 경우에 비해서는 효과가 떨어진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탯줄혈액 조혈모세포를 체외에서 대량으로 증식시킬 수 ... ...
쫄깃쫄깃한 면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성분으로 변한다. 이 결합된 단백질을 ‘글루텐’(gluten)이라고 한다. 밀가루와 물을
혼합
해 반죽하면 글루텐 분자 간에 마치 사슬과 같은 다리 결합이 생겨나 일종의 그물 구조를 형성한다. 면이 쫄깃해지는 것은 이런 구조 덕분이다. 쌀에는 글루텐이 없기 때문에 반죽을 할 수가 없다. 쌀이 밥이나 ... ...
실험실에서 상업용 발전소까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기록을 달성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1996년 문을 닫았다. 2년 후 다시 JET에서 D:T=5:5 비율의
혼합
연료를 사용해 16MW의 핵융합 에너지를 방출해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98년에는 일본의 JT-60U 토카막에서 에너지 분기점(핵융합 반응을 위해 주입된 에너지와 방출된 핵융합 에너지의 양이 같은 경우)을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다원에서는 이른봄부터 초여름까지 수확하는 찻잎을 적정 아미노산 함량이 유지되도록
혼합
해 티백을 제조하기 때문에 잎차에 비해 맛과 품질, 효능이 떨어지지 않는다.차는 따뜻하게 즐기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특수한 제법으로 제조돼 찬물에도 잘 우러나는 녹차가 있다. 찬물에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