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흉내
모사
되풀이
의태
흉내내기
답습
모의
뉴스
"
모방
"(으)로 총 702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미 발목
모방
한 ‘거미센서’ 개발
2014.12.11
발목의 미세균열을
모방
해 센서를 만들었다. 균열이 벌어지면 접촉면적이 변하는 데 이 때 크게 변하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원리로 진동을 감지한다. - ‘네이처’ 제공 거미는 인간이 느낄 수 없는 매우 미세한 음성이나 진동도 감지할 수 있다. 거미 발목 근처에 있는 미세한 균열 사이의 ... ...
배터리 없는 ‘진정한 인공와우’ 나온다
2014.12.03
전자부품을 사용해 와우 속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분리해 주는 ‘유모세포’의 기능을
모방
했다. 귀로 들어온 소리를 높낮이에 따라 분리한 것이다. 이렇게 생긴 신호를 압전소자(소리의 압력을 전기신호로 바꾸는 전자소자)를 이용해 청각신경을 자극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기존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이란 기사를 썼는데, 부제가 ‘눈치코치는 기본, 감수성에
모방
학습까지 관여’였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의 인지과학자 그레고리 힉콕 교수는 지난 8월 출간한 ‘거울뉴런의 신화’에서 오늘날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 만연돼 있는 거울뉴런 만능론에 대해 ... ...
심장질환 걱정된다면 이 ‘반창고’ 붙이세요
2014.11.24
더듬이의 융털이 매우 민감한 센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연구진이 이 융털 구조를
모방
해 반창고 모양의 소자에 적용한 뒤 체내에서 발생하는 맥파를 측정하자 맥파의 강도가 최대 12배 강해졌다. 이렇게 증폭된 신호는 무선 송수신기와 연결돼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 ...
면역질환치료, 4D프린팅… 10년 뒤 유망기술 10선
2014.11.11
사회를 이룩하려는 의도다. ‘스마트한 사회’를 이끌기 위한 두 가지 기술은 ▲생체
모방
로봇 ▲ 학습분석기술이 꼽혔다. 스마트기기처럼 로봇이 쓰이고, 인간의 창의적 학습능력을 끌어 올리기 위한 분석기술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창의적 융합사회’ 분야에선 ▲클라우드 환경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소리 자극에는 반응을 잘 나타내기 힘들다. 김완두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생체
모방
기술을 활용해 나노 소자로 사람의 부동섬모(달팽이관 안에 있는 특수 섬모)와 동일한 센서를 개발하고 이 센서로 인공 와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인공 와우를 고양이에게 이식해 ... ...
몸속 물질
모방
해 리튬 이차전지를?
2014.11.03
FAD)’ 분자는 수소나 전자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연구진은 이 물질을
모방
한 프테리딘 분자를 이차전지에 적용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었다. 이렇게 만든 리튬 이차전지는 기존 무기물로 만든 리튬 이차전지와 비교해 에너지 밀도와 수명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강 교수는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국내 연구팀이 하수관으로 빗물을 걸러 흘려보내는 맨홀뚜껑의 형태와 기능을
모방
한 고성능 분리막을 개발했다. 양질의 분리막이 되기 위한 조건은 작은 물질과 큰 물질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선별 능력과 빠른 처리속도다. 하지만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맞게 구멍 크기를 줄이면 선별도는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수 있을 거라는 이론을 실제로 증명한 첫 사례”라며 “시각 기능을 지닌 뇌 신경
모방
시스템을 상용화하고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산업 전자 학술지(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9월 9일자 온라인판에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물벼룩-제브라피시로 이어지는 3단계의 먹이사슬은 기본적인 수생태계의 먹이사슬을
모방
한 것이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생체공초점현미경을 이용해 원생동물과 물벼룩, 제브라피시의 체내에서 형광을 띠는 나노입자를 탐색했다. 그 결과 원생동물과 물벼룩, 제브라피시의 몸속에서 모두 형광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