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흉내
모사
되풀이
의태
흉내내기
답습
모의
뉴스
"
모방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질환치료, 4D프린팅… 10년 뒤 유망기술 10선
2014.11.11
사회를 이룩하려는 의도다. ‘스마트한 사회’를 이끌기 위한 두 가지 기술은 ▲생체
모방
로봇 ▲ 학습분석기술이 꼽혔다. 스마트기기처럼 로봇이 쓰이고, 인간의 창의적 학습능력을 끌어 올리기 위한 분석기술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창의적 융합사회’ 분야에선 ▲클라우드 환경 ... ...
메이드인 코리아 ‘사이보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4.11.10
소리 자극에는 반응을 잘 나타내기 힘들다. 김완두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생체
모방
기술을 활용해 나노 소자로 사람의 부동섬모(달팽이관 안에 있는 특수 섬모)와 동일한 센서를 개발하고 이 센서로 인공 와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개발한 인공 와우를 고양이에게 이식해 ... ...
몸속 물질
모방
해 리튬 이차전지를?
2014.11.03
FAD)’ 분자는 수소나 전자를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데, 연구진은 이 물질을
모방
한 프테리딘 분자를 이차전지에 적용해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었다. 이렇게 만든 리튬 이차전지는 기존 무기물로 만든 리튬 이차전지와 비교해 에너지 밀도와 수명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강 교수는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국내 연구팀이 하수관으로 빗물을 걸러 흘려보내는 맨홀뚜껑의 형태와 기능을
모방
한 고성능 분리막을 개발했다. 양질의 분리막이 되기 위한 조건은 작은 물질과 큰 물질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선별 능력과 빠른 처리속도다. 하지만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맞게 구멍 크기를 줄이면 선별도는 ... ...
인공신경망 화상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2014.10.15
수 있을 거라는 이론을 실제로 증명한 첫 사례”라며 “시각 기능을 지닌 뇌 신경
모방
시스템을 상용화하고 인공지능 시스템 개발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의 ‘산업 전자 학술지(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9월 9일자 온라인판에 ... ...
헉! 500nm 작디 작은 나노입자도 먹이사슬 타고 전달
2014.09.24
물벼룩-제브라피시로 이어지는 3단계의 먹이사슬은 기본적인 수생태계의 먹이사슬을
모방
한 것이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생체공초점현미경을 이용해 원생동물과 물벼룩, 제브라피시의 체내에서 형광을 띠는 나노입자를 탐색했다. 그 결과 원생동물과 물벼룩, 제브라피시의 몸속에서 모두 형광 ... ...
‘광합성의 비밀’ 드디어 밝혀지나
2014.09.17
1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 연구팀은 금속화합물 등을 이용해 광합성 효소의 일부를
모방
한 인공효소를 합성했다. 여기에 칼슘이온을 넣자 산소가 나오기 시작했다. 칼슘이온이 물을 산화시켜 산소 원자가 나오고, 이들끼리 결합해 산소 분자가 되는 것이다. 반면 칼슘이온 대신 아연이나 ... ...
하품 따라하는 보노보, 낯선이에게도 '공감' 느끼기 때문
2014.08.13
것은 공감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하품 전염'은 다른 사람의 하품을
모방
하려는 몸짓이라는 것이다.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자폐증 환자에서는 이 현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이 증거다. Elisa Demuru 제공 피사대 연구팀은 최근 사람 뿐 아니라 영장류인 ‘보노보’에게도 하품 ... ...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③] “수학은 '슈퍼 섹시'한 학문입니다”
과학동아
l
2014.08.01
인간을 꺾을 컴퓨터용 바둑 프로그램도 개발하고 있다. 그는 “사람이 바둑 두는 법을
모방
한 컴퓨터용 바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수학을 이용해 바둑돌 하나하나의 영향력을 계산해 상황에 맞게 바둑알을 놓게 만드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병두 세한대 바둑학과 교수는 ... ...
해파리 퇴치 로봇, 해파리 잡으러 출동~!
과학동아
l
2014.07.25
이용해 대문자 ‘R’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또 하버드대 연구진은 흰개미의 행동 특성을
모방
한 집 짓는 군집로봇을 개발해 올해 2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아래 링크로 과학동아 8월호에 실린 해파리퇴치로봇 ‘제로스’를 개발한 명현 KAIST 교수의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