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공위원회
위원회
소사이어티
공중
하늘
창공
뉴스
"
상공
"(으)로 총 1,156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美 달 유인 탐사 프로그램 공식 참여키로…강화되는 미·일 우주동맹
동아사이언스
l
2019.10.28
DC 월터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공개했다. 현재 H-2A는 무게 3.6∼4.4t의 인공위성을 800km
상공
까지 쏘아 올릴 수 있는 2단 액체 로켓이다. H-3는 2020년 첫 발사를 목표로 개발되는 차세대 발사체로 6.5t 위성이나 탐사선을 정지천이궤도에 쏘아올리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효도 소요 미쓰비시 중공업 ... ...
인류 또 한 번 달에 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5
장치의 무게를 줄이지 못하면서 연기된 것이다. 달 궤도선이 운영되는 방식도 달 100km
상공
을 원으로 도는 방식에서 100∼300km 타원 궤도를 도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최원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한국의 달 궤도선은 미국의 달 탐사 계획에 활용될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 ...
'독도의 날'맞아 아리랑위성3호와 3A호가 하늘에서 본 독도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아리랑위성 3호는 2012년 5월 18일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지구
상공
685㎞를 하루에 14바퀴씩 돌며 지상을 관찰한다. 서울과 제주도보다 먼 거리에서 가로세로 각각 65~70㎝ 물체를 한 점으로 인식하는 고성능 카메라가 달려있다 ... ...
"불화수소 국산화해도 '원료' 광물 수입하면 소용 없어...국내 생산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0.24
충남지역에 채굴 가능한 형석 매장량이 약 90만 7000t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1966년
상공
부에 등록된 국내 형석 광산이 350여개였으며 이중 생산실적이 있는 형석광산도 70여 개였다. 일제강점기 때는 일본이 주로 한국의 형석을 가져다가 불화수소를 만들 정도였다"고 밝혔다. 품질이 좋은 ... ...
韓-美 원전 해체 전문가 교류 늘리고 '드론 방호' 방안 함께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3
제공 최근 원전 안전을 위협한 드론의 원전
상공
비행을 막기 위해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고리 1호기 해체를 위해 원전 해체 경험이 있는 미국의 전문가와 국내 전문가 사이의 교류도 확대하기로 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3일 서울 종로구 원안위 대회의실에서 미국 ... ...
우주역사 새로 썼다...여성 우주인팀 첫 우주유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0
배터리 충전과 방전을 담당하는 'BCDU'라는 전력제어기의 교체였다. ISS는 지구 300~400km
상공
의 궤도에서는 햇빛을 직접 받지 못한다. 이 때문에 배터리를 이용해 전력을 공급한다. BCDU는 이런 배터리의 충전량과 전력 공급량을 제어한다. BCDU의 고장으로 실험이나 ISS 시설 운영에는 영향이 크게 ... ...
여성 우주인들만의 첫 우주유영, 18~19일 재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충전과 방전을 담당하는 'BCDU'라는 전력제어기를 교체하는 것이다. ISS는 지구 300~400km
상공
의 궤도에서는 햇빛을 직접 받지 못한다. 이로 인해 배터리를 이용해 전력을 공급한다. BCDU는 이런 배터리의 충전량과 전력 공급량을 제어한다. BCDU 고장으로 인한 실험이나 ISS 시설에 대한 영향은 크게 없지만 ... ...
한국형발사체 7t 엔진 인증모델, 500초 연소시험 성공 '발사준비 착착'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한국이 독자기술로 개발하고 있는 우주발사체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상공
600㎞~800㎞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3단형 발사체로 설계됐다. 1단은 75t급 액체엔진 4기가, 2단은 75t급 액체엔진 1기, 3단은 7t급 액체엔진 1기가 쓰인다. 누리호는 2010년 처음 개발이 계획된 이후 총 1조9572억 원의 ... ...
韓-美 첫 코로나 관측 성공..."우리의 실력 NASA에 각인시켰죠"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18일(현지 시간)에는 미국 남부 뉴멕시코주의 NASA 과학실험장에서 기구를 이용해 40㎞
상공
에 띄워 코로나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3주간의 시도 끝에 얻은 극적인 성공이었다. 실험이 성공한 뒤 2주가 채 지나지 않은 이달 1일 대전 유성구 천문연에서 조 책임연구원 등 당시 첫 실험에 나선 주역 네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지구와 충돌해 서울의 3.5배 면적의 숲을 초토화시켰다. 2013년에는 러시아 첼랴빈스크
상공
에서 소행성이 폭발하는 사고도 있었다. 천문학자들은 올해 6월 기준 1981개의 지구위협소행성을 발견했다. 지난해 1년 동안 새로 발견한 지구위협소행성만 총 83개에 달한다. 대부분 미국 연구팀들이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