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뉴스
"
채
"(으)로 총 3,82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촌평] 누리호 발사는 ‘이벤트’가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6
인력은 약 250명 수준이다. 민간 기업체 인력 500여명까지 포함하면 1000명이
채
안된다. 발사체 기술을 보유한 미국이나 러시아, 중국, 일본 등은 발사체 연구인력만 수천명에서 수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삼 놀라운 비교다. 이공계 인재들이 자연스럽게 우주개발 꿈을 키울 수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갈라졌다. 고추의 조상이 이차대사물인 캡사이신을 발명한 역사는 2000년만 년이
채
안 된다는 말이다. 결국 고추 조상은 포유류로부터 씨앗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대신 열매 자체를 못 먹게 화학적으로 지키는 전략으로 시행착오를 거쳐 포유류의 TRPV1에만 달라붙는 구조의 화합물인 캡사이신을 ... ...
미 NASA "무인 달탐사선 '아르테미스-1' 내년 2월 발사"
연합뉴스
l
2021.10.23
준비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최종 발사일은 내년 1월 로켓에 연료까지
채
우는 최종 리허설까지 한 후 결정될 예정이다. 아르테미스-1 임무 책임자인 마이크 사라핀 박사는 "내년 2월 발사 가능 기간은 12~27일"이라며 그 기간 발사하지 못하면 다음 발사 가능 기간은 3·4월이 될 ... ...
코로나19 재택치료 환자 병원 이송 중 숨져…첫 사망 사례
동아사이언스
l
2021.10.22
코로나19 전담 구급차가 먼저 도착하지 못했고 구급차가 재택치료 환자임을 알지 못한
채
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치료 긴급이송체계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방역당국은 이송 체계를 다시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통제관은 22일 ... ...
"누리호 3단 연소 조기 종료, 부품 오작동 가능성"...다양한 가능성 열어놔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0.21
속력 역시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위성 모사체가 지구를 한 바퀴도
채
돌지 못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교수는 “75t급 엔진 4기를 묶는 기술이 매우 고난도고, 이를 포함해 중대형급 발사체를 발사하고 1·2단 분리까지 성공한 것만 ... ...
[누리호 발사]2013년 ‘나로호’와 2021년 ‘누리호’ 무엇이 다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10.21
200t에 달한다. 1단 엔진부의 최대 직경은 3.5m이며 탑재체 중량은 1.5t으로 나로호의 탑재
채
중량보다 15배다. 어디까지 날아갈 수 있느냐에서도 차이가 난다. 나로호의 투입 고도는 300km에 그쳤지만 누리호는 실용급 위성이 안정적으로 지구를 관측,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태양동기궤도(600~800km)가 ... ...
보잉의 굴욕 유인우주선 스타라이너 연기 원인은 '밸브 부식'
동아사이언스
l
2021.10.20
과정도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보잉은 CST 100 스타라이너가 밸브 문제를 모르는
채
로 발사되는 상황은 없다고 단언했다. 비행 컨트롤러가 비행 전 밸브 상태를 모두 확인하기 때문에 그런 일은 없다는 것이다. 볼머 책임자는 “이것은 절대적으로 작동해야 하는 부품 중 하나로 그렇지 않으면 ... ...
노벨상 수상자가 만든 감염력 없는 바이러스 복제품, 코로나19 연구 속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8
전 세계 생물안전 3등급 시설(BL3)과 같은 안전한 시설에서 연구원들이 방호복을 입은
채
이중삼중 안전조치를 거쳐 다뤄지고 있다. 미국 과학자들이 최근 이런 위험하며 복잡하고 더딘 과정을 과감하게 개선할 수 있는 감염성을 없앤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품을 개발했다. 찰스 라이스 미국 ... ...
목성 궤도 트로이군 소행성 탐사선 '루시' 12년 대장정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1.10.17
태양과 목성의 중력이 균형을 이뤄 사실상 중력이 0이 되는 지점인 라그랑주점에 붙잡힌
채
목성의 앞과 뒤에서 태양 궤도를 돌고 있다. NASA 과학자들은 이 소행성들을 태양계 행성들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남은 잔재라고 보고 있다. 또 지난 45억 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은 원시 상태 그대로일 것으로 ... ...
선사시대 영장류도 당 중독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21.10.12
다양한 달콤한 음식의 유혹에 우리는 쉽게 무너지곤 한다. 약간의 죄책감은 뒤로 한
채
로 말이다. 이런 달콤함을 향한 인류의 갈망은 어쩌면 오래된 본능이었는지도 모른다. 초기 에오세(약 5400만 년 전)에 살았던 선사시대 영장류(Microsyops latidens)의 치아 화석에서도 충치의 증거가 발견됐기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