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유즈 우주선 고장수리 성공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기체 내부의 고장으로 영원히 우주미아가 될 뻔 했던 소유즈 우주선의 두 비행사 아나톨리 솔로 비요프와 알렉산더 발란딘이 극적으로 수리에 성공, 무사 ... Zvezdnyi Gorodok)는 우주비행사 훈련과 실제비행의 전 과정을 통제하는 소련 우주항공
분야
의 메카로 모스크바 근교에 위치하고 있다 ... ...
사용자를 위해 봉사하는 인간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크게 의존해 왔기 때문에 다른나라의 뒤를 따르기에 급급하였다. 그러다보니 각각의
분야
에서는 괄목할 발전을 이룩했으나 아직 이들을 잘 조화시켜 정말로 사람들이 원하는 과학기술로 발전시켜가는 부분에서는 크게 뒤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공학은 이러한 부분을 개선하고자 하는 ... ...
정리(定理)속에서 문제의 실마리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수학은 깊이는 비록 없지만 그 기초개념들은 거의 모든 전문
분야
의 수학을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고등학교 과정의 수학을 확실하게 공부해두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어느 정도 이론과 문제해결에 자신이 있는 학생은 과감하게 고교과정에서 벗어나는 '용기'도 필요하다. ... ...
하늘의 변덕을 헤아리는 불침번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노력하는 동료 모습에 자극받아학력고사 후 교수님들과의 면접에서 '장래 대기과학
분야
의 제일인자가 될 것'이라고 큰소리쳤던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웃음이 난다. 턱없이 욕심만 컸던 신입생시절 좁게만 느껴지던 과도서실을 보며 대학 4년동안 여기 소장된 책을 모두 읽고 말겠다는 야심도 ... ...
5세대 컴퓨터의 성공과 실패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것이다.80년대초에 너무 큰 목표를 설정 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단적으로 응용
분야
의 자연어번역만 하더라도 이와 맞먹는 큰 사업규모라는 점이다. 이것은 10년이내에 달성하기 힘든 인간적인 특징을 컴퓨터에 구현할려고 목표했다가 제6세대로 밀려난 점에서도 분명하다고 한다. 그리고 ... ...
PART III 최첨단 암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우리 몸의 여러 부위에서 각종 암이 발생하므로 암의 발생부위에 따라 외과의사의 전문
분야
도 다르다. 즉 위암이나 대장암은 일반외과의사, 폐암은 흉곽외과의사, 방광암은 비뇨기과의사, 난소암은 산부인과의사 등이 전문이다.조기진단만 되면 수술로 완치율이 높은 것이 암이다. 위암(50~90%) ... ...
북경 IMO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또 해석학
분야
에서는 수열(특히 점화공식) 이항정리 함수방정식 등 미적분학을 제외한
분야
와 순열 조합 확률(통계 제외) 등을 철저하게 공부해야 한다. 이외에 삼각함수 삼각부등식 대수부등식 등은 고교과정에서 약간의 심화학습만 거치면 풀 수 있는 문제 들을 다루고 있다.끝으로 어려운 공식은 ... ...
컴퓨터기업의 대명사 IBM의 신화는 사라지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뿐만아니라 IBM의 야심작인 '서미트'(금년 9월 발표예정)보다 먼저 선보임으로써 이
분야
기술경쟁에서 IBM을 한발 앞서 나가고 있다는 점 때문에 더욱 증폭됐다.컴퓨터 수요자들의 태도변화도 IBM의 성장세둔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표준화냐, 독자노선 고수냐80년대 전반기만해도 한번 ... ...
텔레텍스트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국내외뉴스 경제산업 스포츠 관광레저 문화예술 생활·과학·여성 방송 증권 특집 등 9개
분야
의 40여개 세부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보통 3백여 페이지(페이지는 TV의 한 화면을 뜻함)로 이뤄져 있다.문자방송은 보통 TV와는 달리 화면을 정지시켜 볼 수 있고 특정 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 ...
입자물리학계의 석학 강경식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체계적으로 알선해 주는 창구역할도 했었다. "미국의 한인 과학기술자 중에는 자기
분야
에서 명성을 가진 사람이 적어도 5백명 이상이다"고 설명하면서 "국내 과학기술계로 봐서는 커다란 인적자원인 이들을 잘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앞으로 국내에 자리잡을 생각이 없냐는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