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리노의 수의는 이렇게 찍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명명된 연구팀은 각각의 독자적인 분야에서 활동하는 40여명의 세계적인 과
학자
전문인
학자
그리고 각 분야의 조수들로서 구성되었다. 그리고 연구에 필요한 전문적인 과학장비는 해외로부터 특별히 주문, 제작된 8천파운드의 엄청난 규모였다. 사진분야에서 필요로 했던 사진술과 장비들 중에서 X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소비자보호단체는 계속 좋지 않은 청량음료 덜 마시기운동을 펴야겠고, 의사 등 전문
학자
들도 바른 인식을 심고 넓히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또 될 수 있으면 천연100% 음료를 마시고 특히 부모들은 어린아이들에게 될 수 있으면 청량음료를 찾지 않도록 타이를 필요가 있다. "청량음료는 갈증을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이라는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다가 1983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임즈 쿠크'대학 생물
학자
들이 산호충이 난자와 정자를 물속에 방출해서 수정하여 탄생되는것을 발견했다. 이 조사팀이 만든 영상기록을 보면 그너무나 황홀한 신비함에 그냥 망연해질 따름이다. 그들의 조사에 의하면 산호충은 1년에 ... ...
이것이 전설의 인어(人魚)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듀공의 생태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지지는 않았다. 최근 '폴 앤더슨'이라는 어류
학자
가 이끄는 조사단이 상어해안이 듀공의 주요 서식처라는 것을 확인했고 듀공의 생태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아냈다. 그러나 이미 오스트렐리아의 원주민(애보리진, Aborigines)들은 듀공이 상어처럼 겁나는 ... ...
미국 IBM연구소 윤도영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의사를 밝힌다. "연구실에서의 연구도 중요하지만 각국을 돌면서 세계 유명
학자
들과 연구결과를 놓고 토론하는 것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보고 서로 접하는 연구의 성과는 아무래도 생동감이 덜하지요." 지금은 각 대학 연구소의 중심적인 위치에서 활동하고 있는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우리 가까이에 있는 이 문제에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전자파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
뿐만 아니라 체신부 전기통신공사 보사부 환경청 경제기획원등 모든 관계기관이 협력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유효한 기준을 마련해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예술의 경지에 이른 도청 기술 마이크로웨이브는 ... ...
식인(食人)등 야만성과 천진난만함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배웠던것 같다. 결국 이러한 식인행위는 섬의 한 풍속이 되었다. 독일의 문화인류
학자
이며 저술가인 '게오르그-포르스터'는 이 섬에 왔을 때 통가인들이 노래를 아주 잘 하며 '타이티'인 보다도 더 좋고 우아하다고 느꼈다. 또한그가 보기에 이곳의 결혼한 부인들은 아주 예의바르게 행동하고 ... ...
전문화시대일수록 「교양독서」는 보다 절실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이런 알맹이들의 탄생과 죽음 (정확하게는 탈바꿈)으로 엮어진 것이다. 1929년 천문
학자
'허블'(Hubble)이 밝혀낸 사실은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우주를 이루고 있는 은하(銀河)들 사이의 거리가 차츰 늘어나고 있다는 뜻인데 그 늘어나는 율로부터 계산하면 우주가 약2백억년전에 큰 폭발에 ... ...
PART4 태양의 운명에 관한 현대과학의 예언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모르며 또는 다른 지적 생물에게 진화의 바톤을 넘겨버렸을 가능서도 있다. 어떤 미래
학자
의 예언처럼 지성을 갖춘 기계가 지배하는 세계라면 이런 악조건에도 견딜 수 있겠지만, 인류라면 혜성이나 다른 우주의 별로 이주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적색거성이 된후 태양은 가속적으로 팽창이 ... ...
중년(中年)은 안정과 파멸의 기로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있는 시기인 동시에 사람에 따라서는 매우 위험한 시기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심리
학자
나 뇌신경전문가들은 점차 '중년은 제2의 사춘기로서 위험이 많은 나이'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두뇌의 기능에서 보면 코에룰러스(coeruleus)라는 아주 작으나(세포수는 2만개 정도밖에 안된다) 불안·공포등의 ... ...
이전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