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자리에서 일어났다. '1987A'가 관측되기 전의 마지막 초신성을 발견한 행운은 위대한 천문
학자
'케플러'에게 돌아갔다. 1604년, 그러니까 망원경이 발명되기 4년 전의 일이다. 한편 이 초신성은 케플러에 앞서 한국인이 발견했다는 견해도 있다. '조선왕조실록' 및 '천문전고'(天文典故)에는 '모양은 ... ...
피그미족은 왜 난장이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가장 키가 작은 난장이족으로 유명하다. 이들은 왜 작을까? 최근 미국과 서독의
학자
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조사한바로는 성장 호르몬의 결핍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토마스 메리메'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성인 피그미족의 평균키는 미국인보다 32cm나 작았다고 밝히고 그러나 피그미족이 ... ...
매미, 그길고도 짧은 생애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상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집단으로 울어제껴야 암컷이 날아오는 확율이 높은 것이다.
학자
들은 비교적 고립된 생활을 하게된 매미의 서식처에서는 알을 보기가 힘들었다고 한다. 암컷은 별로 날아 다니지도 않고 대부분 기어다니며 수컷들이 맹렬히 합창을 하면 그중간으로 날아가 교미를 하는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학계에서도 우리나라 수도물에 대해 당국의 시각과는 다른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학자
들은 '우리 수도물은 외국에 비해 탁한 편이며 염소투여량이 많다. 이는 물속의 유기물과 화합하여 발암물질인 염소화합물이 되는데 이에 대한 규제대책이 없고 유기물규제기준도 허술하다. 당국은 늦기전에 ... ...
식인(食人)등 야만성과 천진난만함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배웠던것 같다. 결국 이러한 식인행위는 섬의 한 풍속이 되었다. 독일의 문화인류
학자
이며 저술가인 '게오르그-포르스터'는 이 섬에 왔을 때 통가인들이 노래를 아주 잘 하며 '타이티'인 보다도 더 좋고 우아하다고 느꼈다. 또한그가 보기에 이곳의 결혼한 부인들은 아주 예의바르게 행동하고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있다. 여름밤에 보는 은하수는 바로 이 은하계 원반의 한 단면이다. 18세기 영국의 천문
학자
'윌리암허셀'은 처음으로 태양이 은하계에 속하는 하나의 별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그는 태양이 은하계의 중심부에 있고 은하계 크기도 직경 7천광년 정도라고 생각했다. 오늘날 밝혀진 우리 ... ...
PART4 태양의 운명에 관한 현대과학의 예언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모르며 또는 다른 지적 생물에게 진화의 바톤을 넘겨버렸을 가능서도 있다. 어떤 미래
학자
의 예언처럼 지성을 갖춘 기계가 지배하는 세계라면 이런 악조건에도 견딜 수 있겠지만, 인류라면 혜성이나 다른 우주의 별로 이주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적색거성이 된후 태양은 가속적으로 팽창이 ... ...
중년(中年)은 안정과 파멸의 기로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있는 시기인 동시에 사람에 따라서는 매우 위험한 시기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심리
학자
나 뇌신경전문가들은 점차 '중년은 제2의 사춘기로서 위험이 많은 나이'라는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두뇌의 기능에서 보면 코에룰러스(coeruleus)라는 아주 작으나(세포수는 2만개 정도밖에 안된다) 불안·공포등의 ... ...
미국 IBM연구소 윤도영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의사를 밝힌다. "연구실에서의 연구도 중요하지만 각국을 돌면서 세계 유명
학자
들과 연구결과를 놓고 토론하는 것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보고 서로 접하는 연구의 성과는 아무래도 생동감이 덜하지요." 지금은 각 대학 연구소의 중심적인 위치에서 활동하고 있는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우리 가까이에 있는 이 문제에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전자파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
뿐만 아니라 체신부 전기통신공사 보사부 환경청 경제기획원등 모든 관계기관이 협력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유효한 기준을 마련해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예술의 경지에 이른 도청 기술 마이크로웨이브는 ... ...
이전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
6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