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전도 현상이 실온에서 가능할까? 뜨거운 온도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도와 2백도에서 초전도가 일어나는 물질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의 과
학자
들은 소련을 위시한 몇몇 나라에서 발표된 내용은 정확한 실험을 거쳤는지 의심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들 고온 초전도 물질은 모두 란탄계 화합물과 이트륨계 화합물로 2가와 3가의 원소에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없는 사람들은 스스로가 독창적이라 생각하질 않았다.’이러한 결론은 심리
학자
들이 과
학자
들에게 설문을 돌려서 얻은 것이다. 발명가들이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이 바로 ‘나도 발명가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 창조력을 높이려면 자신의 아이디어의 가치를 믿고 끈질기게 그것을 발전시켜야 ... ...
지구과학 쉽게 해설한 참고서를 골라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얘기한다. 물론 어렵다. 그러나 어느 과목치고 쉬운 것이 있겠는가. 모두 학식이 높은
학자
들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연구한 내용이니 쉬울 리가 없을 것이다. 그러니 과목 자체가 쉽다, 어렵다 하는 논의는 전혀 필요가 없으며 단지 남보다 조금이라도 더 요령있게 공부하면 되는 것이다 ... ...
톱쿼크는 발견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유럽의 CERN 등에서 보다 큰 가속기 건설을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일본의 물리
학자
들은 대폭적인 정부의 자금지원과 넓은 부지의 제공을 갈망하고 있다 ... ...
공룡의 골세포 전자현미경사진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다만 그 미추골(尾椎骨)의 골세포 주사(走査) 전자현미경 사진일뿐이다. 일본의 고생물
학자
‘후쿠다 요시오’씨가 찍은 이 사진은 공룡의 것이라는 것과 골세포의 사진이 라는 것 두가지로 귀중한 영상이라고 하겠다. 골세포는 보통 칼슘과 인으로 이루어진 골의 기질에 싸여있다. 그러므로 만약 ... ...
토리노의 수의(壽衣) 정말 예수의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Shroud and Science)이었다. 그들의 결론에 따라 수의의 과학적인 분석을 위해 미국의 모든 과
학자
들과 전문가들은 그것이 보관되어져 있는 이탈리아 토리노의 지오바니 바티스타 대성당(Cathedral of San Giovanni Battista)에서 모여 1978년 10월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던 것이다 ... ...
물리학을 위해 태어난 사람 카를로 루비아 CARLO RUBBIA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쫓기 바쁘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그의 물리학을 생활양식과 비교하기도 한다. 과
학자
들은 오늘날 정규적으로 전세계에서 열리는 회의에 참가하고 있으나 그의 경우는 너무나 잦아서 ‘알리딸리아’항공사는 그를 영예이사로 추대했을 정도이다. 루비아도 과학에 대한 집념이 너무나 커서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형태는 잘 느끼지 못하지만 방향을 감지(感知)하는데 좋은 역할을 한다고 해석하는
학자
도 있다. 곤충의 복안은 몇개의 낱눈(小眼)이 하나의 기능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신경으로 연결되게한 큰 눈이라고 볼수 있다. 잠자리의 낱눈은 1만개에서 2만 8천개, 나방은 1만2천개에서 1만7천개, 집파리는 ... ...
미국 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중대한 이유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믿고 있으나 이것은 현실성이 없는것이다.” 작년봄 레이건대통령은 26명의 과
학자
와 엔지니어들에게 ‘국가의 번영과 국방력강화’에 기여한 공로로 메달을 주었다. 시상식에는 많은 TV카메라맨, 녹음기사, 스틸사진기자들이 모여 법석거렸다. 나도 이들속에 섞여 있었다. 그런데 이들이 지닌 ... ...
구조색인가 색소색인가 나비의 정체를 밝힐 열쇠는 비늘의 빛깔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정체가 밝혀질 수만 있다면 당시의 자연환경을 알아내는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게 관련
학자
들의 견해다. 나비와 같이 작은 생물들(micro fauna)은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나비의 종류를 알 수 있다면 과거의 기후를 짐작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다.충북대 이융조교수팀이 발견해낸 나비의 ... ...
이전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