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용한 초음속 비행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11
1970년대부터 비행기를 개조해 소닉붐을 줄이려는 연구가 진행됐다.한 예로 1970년대
미국
코넬대의 리처드 시바스 교수는 비행기의 앞부분을 뭉툭하게 하면 소닉붐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처음 주장했다. 시바스 교수에 따르면 비행기 앞머리, 즉 뾰족한 코를 뭉툭하게 만들면 공기와의 저항에 의해 ... ...
2 아시아, 달을 향한 꿈을 쏘다
과학동아
l
200311
여러나라가 경쟁적으로 달 탐사에 뛰어들고 있는 것일까. 자존심 때문이다. 냉전 시대
미국
과 옛 소련이 자존심을 걸고 우주 개발에 나섰듯 오늘날 우주 개발에 나선 후발 국가들도 나라의 신인도를 높이기 위해 달 탐사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 개발도상국 중국과 만성 빈곤국가 인도가 달탐사를 ... ...
이런 노벨상도… 2003 '엽기 노벨상' 닭도 미녀를 사랑한다?
과학동아
l
200311
물오리가 죽은 동성(同性)과 교미하는 장면을 처음 발견했다고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까.
미국
의 ‘있을 법하지 않은 연구 연보’(Annals of Improbable Research, AIR)는 지난 10월 2일 하버드대에서 이 두 업적에 ‘이그(Ig) 노벨상’을 수여했다. 이그 노벨상은 처음엔 사람들을 웃게 만들지만 그 다음에는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11
거미는 서로를 잡아먹는 습성을 갖고 있어 대량으로 사육할 수 없기 때문이다.넥시아와
미국
육군연구팀은 거미줄을 만드는 거미의 유전자를 암소의 세포에 이식했다. 유전자가 이식된 세포를 긴 튜브 벽에 부착한 후 한쪽 끝에 성장인자를 투여하자 다른쪽 끝에서 거미 실크를 뽑을 수 있었다.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311
만들기 위해서는 수정란을 파괴해야 하고 때로는 체세포복제도 한다. 이런 이유로
미국
에서는 줄기세포 연구가 일반인들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부시가 말한 78개 세포주 가운데 쓸만한 것은 11개에 불과한 것. 해양학자에게 바닷물 한컵을 건네고는 “이것을 가지고 바다를 ... ...
공생관계도 셈은 철저
과학동아
l
200310
않으면 번식률이 높아질 것이다. 그런데 왜 실제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미국
데이비스 소재 캘리포니아대 진화 생태학자 토비 키어스와 동료들이 그 해답을 찾아내 ‘네이처’9월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식물뿌리가닥을 둘로 나눠 한쪽은 정상 공기, 나머지는 질소대신 아르곤이 ... ...
오른손잡이는 시계방향 가마 가져
과학동아
l
200310
확률은 반반이다. 클라 박사에 따르면 왼손잡이를 지정하는 유전자는 없다.이에 대해
미국
신경과학연구소 랄프 그린스판 교수는 “이 유전자는 초기 배아에서 비대칭적인 세포 분열을 유도할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오늘날 사람들 중 약 90%가 오른손잡이다. 이런 현상이 유전의 결과인지 ... ...
손해보기 거부하는 원숭이
과학동아
l
200310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이를 알아채고 저항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조지아주 에모리대의 사라 브로스넌 교수팀은 꼬리감기 원숭이(Cebus apella)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원숭이도 공평성의 개념을 갖고 있다고 ‘네이처’ 9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열두마리의 꼬리감기 원숭이를 두 ... ...
화성이 핏빛으로 물든 사연은?
과학동아
l
200310
두개의 달에도 포보스와 데이모스라는 이름이 붙었다.봄을 기다리는 전쟁의 신1976년
미국
의 화성탐사선 바이킹이 표면에 착륙한 후 풍경을 찍어 보내온 사진에도 역시 온통 붉은빛뿐이었다. 화성 표면의 붉은 토양은 바위 속의 철분이 오래 전 풍부했던 물 때문에 녹슨 후 표면에 노출됐기 ... ...
우주로켓의 선조 V-2 부활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0310
미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이뤄졌다. 비록 V-2 자체는 아니었지만 설계자인 폰 브라운이
미국
으로 망명한 후 만든 것으로 V-2와 별반 다른 점이 없었다. 이 유인 비행은 2회만 실시됐다.개발된 지 환갑이 지난 V-2의 우수한 성능을 다시 주목한 사람은 캐나다의 제프 시어린(Geoff Sheerin)이다. 저렴한 ... ...
이전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