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계공학, 바이오로보틱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용해 설명했다. 중간중간 귀여운 매머드 이야기도 들어 있어 이해를 돕는다.미국의 의생학 분야 선두주자 재닌 비니어스가 쓴 책입니다. 자신이 생체모방에 관심을 갖기까지 삶의 질곡이 묻어 있는 연구 과정을 자전적으로 풀어냈습니다. 여기에 최신 생체모방 분야까지 소개합니다. 약간 지루한 ...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떠오르는 2013년 새해의 첫 태양보다 훨씬 밝은 ‘미니 태양’이 반도체 위에 떠올랐어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의 주혁 교수를포함한 국제 연구팀은 빛을 아주 작은 점에 집중해 태양 표면보다 100만 배나 밝은 빛을 만들어냈답니다. 이 ‘미니 태양’의 크기는 100제곱 나노미터(㎚, 1㎚=1억 ... ...
- [포토뉴스] 블랙홀의 비밀에 다가간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노트를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런데 지난 12월 22일 그의 탄생 125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미국 에모리대 수학과 켄 오노 박사가 라마누잔이 남긴 정리 중 하나에서 영감을 얻은 공식을 발표했다.그동안 오노 박사는 라마누잔이 죽기 전 병상에서 수학자 하디에게 보낸 편지에 언급한 ‘가짜 모듈러 ...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퍼즐정사각형, 정오각형 등 정다각형 안에 지그재그로 연결된 선을 긋는 뱀 퍼즐은 2003년 미국 스테트슨대 수학과 교수 에릭 프리드만이 고안한 것이다. 새로운 형태의 뱀 퍼즐을 만들어 홈페이지(mathpuzzle.com)에 등록하면, 그 퍼즐은 자신의 이름으로 불리는 영광을 누릴 수 있어 인기가 높다.뱀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런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같은 날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 한 편 때문이었다.비비안 청 미국 펜실베니아 의대 교수팀이 발표한 논문으로, 27명의 면역세포(B세포)에서 얻은 DNA(게놈)와 이를 토대로 만든 RNA 염기 서열을 차세대 염기서열분석기술로 읽어 비교했다.이 논문이 왜 화제를 불러 모았을까 ... ...
- 쓰나미 피해 키우는 건물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호텔에 흔히 쓰이는 U 자, T 자 모양의 건물이 있을 때 유속이 가장 빨라졌다. 리넷 교수는 미국 온라인 과학신문 ‘라이브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건물을 지을 때 바람이 흘러가도록 배치를 고려한다”며 “해안 건물도 유속을 고려해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 셰일가스 채취, 지진 일으킨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대한 진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12월 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 지구물리학회 연례총회에서는 셰일가스 채취 방식인 수압파쇄 공정에서 나오는 폐수가 지진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제시됐다고 MIT 테크놀로지리뷰가 지난해 12월 14일 보도했다.오클라호마, ...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데 성공했다. 광통신 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안겨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주혁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와 엘리 야블로노비치 UC버클리대 엘리 야블로노비치 교수 공동 연구팀은 빛을 강하게 집속시키는 장치를 개발해 반도체 칩 위에 구현했다고 지난해 12월 10일 네이처 자매지 ... ...
- 북한은 왜 500km 고도에 위성을 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쓸 경우 사거리가 1만 3000km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북한에서 미국 어느 도시나, 즉 백악관이 있는 워싱턴까지 공격할 수 있다는 말이 나왔다.하지만 아직 실전에 투입하긴 무리가 있다. 우주발사체와 ICBM은 비슷한 것이 사실이지만 분명한 차이도 있다. 우주발사체는 목표 ... ...
- '마의'처럼 말과 교감하는게 중요해요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 말을 치료하는 모습은 어땠을까.“말에 침을 놓는 장면에 눈이 많이 갔어요. 요즘 미국에서도 말에 침을 놓는 경우가 있습니다.”수의사가 보기에 다른 동물과 말은 얼마나 다를까. 한 교수는 “개나 고양이는 사람에게 친근하게 굴고 무엇을 말하려는지 이해하기가 쉽지만 말은 덩치도 크고 ... ...
이전6636646656666676686696706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