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05
지상 1.5~2m 상공에서 온도계를 이용해 측정한 기온이고, 랜드샛 위성이 측정한 온도는 지
표면
자체의 온도기 때문이다. 마이크 카를로비츠 지구관측소 연구원은 “태양이나 대기 복사에 의해 땅이 달궈진 정도를 반영하고 있어 지상에서 측정한 기온과는 다르다”고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05
만든 단백질이 가득 들어있는 용액 위에 얇은 지방막을 올려두면 단백질과 지방막
표면
이 상호작용하면서 2차원 결정체를 만들 수 있다.다음으로 2차원 결정체를 투과전자현미경(TEM)에 넣고 사진을 찍는다. 투과전자현미경은 시료에 전자를 투과시켜 형광판에 맺힌 영상을 보는 장치다. 위쪽에 달린 ... ...
[시사] 돌아온 백설공주 수학을 알았더라면?
수학동아
l
201205
크기와 상관없는 걸까?거울은 언제나 ‘반사의 법칙’으로 물체를 나타낸다. 거울
표면
에 빛이 반사될 때, 빛이 들어온 각도와 반사되어 나가는 각도가 같다는 얘기다. 또한 이 반사는 한 평면 위에서 진행된다. 이 법칙을 따르는 거울은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성질을 갖는다. 하나, 전신을 확인할 수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04
주변에서 DNA앱타머가 표적단백질과 결합해 뚜껑이 열리고 속에 있던 항체가 암세포
표면
의 항원과 결합해 성장을 억제한다.연구자들은 “나노로봇을 이용하면 다양한 측면에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DNA오리가미는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대상이지만 새로운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04
특히 섬세한 질감을 느낄 때 지문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손끝이 물체의
표면
을 지나갈 때 진피에 있는 신경의 말단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감지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문이 신호증폭기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지문 형성 과정 아직 잘 몰라지난 2007년 스위스의 한 여성은 미국에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04
책에 흘린 침에 비친 글자가 커보이는 현상 → 이슬방울에 비치는 형상의 확대 현상 →
표면
장력과 일렉트로웨팅 현상에 대한 연구 → 일렉트로웨팅 현상의 원리 → 생활 속 일렉트로웨팅 현상의 최신 활용 연구로 이어지는 기사 흐름이 자연스러워 읽는 사람의 관심을 끝까지 붙잡고 있다.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04
20e’와 ‘케플러-20f'를 발견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중심별과 거리가 너무 가까워
표면
온도가 1000℃에 육박한다. 생명체가 살 가능성은 희박하다.플랑크는 지금까지 언급한 우주망원경과 다른 파장을 관측한다. 바로 마이크로파다. 빅뱅의 흔적인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이다. ... ...
날개 두 겹으로 초음속 뚫는다
과학동아
l
201204
최종 결과는 날개 끝 부분이 서로 붙어 있어 앞에서 보면 삼각형이다. 각 날개의 안쪽
표면
은 부드럽게 만들어 바람이 잘 지나갈 수 있게 했다. 왕 교수는 “비행하는 데 드는 연료를 줄이면, 많은 양의 연료를 담을 필요가 없어 비행기도 작아지는 일종의 연쇄반응이 생긴다”라고 설명했다. ... ...
박쥐에서 발견한 신종 인플루엔자
과학동아
l
201204
전에 없던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발견한 것.인플루엔자A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표면
의 당단백질 헤마글루티닌(HA)과 뉴라미니다아제(NA)의 종류로 그 아형을 구분한다. 지금까지 헤마글루티닌은 16종류, 뉴라미니다아제는 9종류로 알려져 있다. 노란 어깨 박쥐에서 발견된 신종 인플루엔자 ... ...
생명과 행성의 공진화
과학동아
l
201204
될 만큼 대기의 산소 농도가 풍부해진다. 원생대 후기의 에디아카라 시기에는 몸
표면
이 연약한 다세포 생물이 많이 살았다. 다가올 고생대 캄브리아기의 생물다양성의 대폭발을 예고한 것이다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