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리"(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감칠맛=글루탐산 맛!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단백질을 많이 필요로 하는 생물이라 MSG의 99%는 덩치가 큰 단백질 상태로 존재한다. 유리MSG는 1%에 불과하다. | 닭1867g◎ 발효 : 단백질을 끊어서 감칠맛 성분을 극대화하는 과정이다.◎ 추출 : 재료를 오래 끓이면 감칠맛 성분이 최대로 녹아 나온다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혼슈 북부지역에도 약 5cm가량 퇴적됐다. 멀리 그린란드 빙하 속에서도 백두산 화산재의 유리조각이 발견됐다. 밀레니엄 분화 이후 백두산은 100년에 1~3번씩 분화를 해왔다. 마지막으로 분화한 것이 1903년이니 내일 당장 분화해도 이상할 것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000년 전과 유사한 대규모의 ... ...
- Intro.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너른 평야를 가로지르는 하천, 잎사귀가 거품처럼 돋아난 듯 보이는 브로콜리, 추운 겨울 유리창에 붙어 있는 눈송이에도 들어 있다. 일부의 모습이 전체의 모습과 닮은 기하학적인 구조인 ‘프랙탈’이다.사람의 몸속에는 곳곳에 프랙탈이 숨어 있다. 프랙탈의 비밀을 풀면 풀수록 몸속에 잔뜩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눈, 아키틀라, 물에 내려앉는 눈, 브리클라, 단단하게 뭉쳐진 눈, 카피틀라, 얼어서 유리처럼 반들반들한 눈, 크리플리아나, 새벽녘에 푸르게 빛나는 눈, 소틀라, 햇빛을 받아 반짝이는 눈, 틀라잉, 진흙에 섞여 지저분한 눈. 틀라파트, 소리없이 내리는 눈. 콰나, 펑펑 쏟아지는 눈. 그 언어를 모르는 ... ...
- [가상인터뷰] 깃털색에 숨겨진 새매의 사냥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때문에 사냥 성공률이 높아져요. 반대로 어두운 지역에선 어두운 색의 새매가 사냥에 유리하고요. 연구팀은 사냥 성공률이 높은 새매가 더 잘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새매의 색이 달라진다고 설명했어요.일리 : 나에게 사냥법을 가르쳐 주지 않을래?새매 : 동물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공부벌레였다. “과학기술이 삶을 어떻게 지배하는지 직접 보이고 싶었다”는 그는 유리판을 만든 것처럼 다양한 과학기술을 직접 손으로 재현하며 책을 썼다.“솔직히 이 책은 종말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어요. 말하고 싶었던 건, 현대사회가 작동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우리는 활과 화살을 들고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좋다. 암컷을 두고 싸울 때 경쟁자를 쫓아 내거나, 큰 몸집으로 이성에게 어필하기에도 유리하다.하지만 큰 몸집이 좋기만 한 건 아니다. 몸집이 너무 비대하면 뼈나 관절에 문제가 생기거나 혈액이나 호르몬이 잘 순환하지 못하는 등 생리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너무 커진 바람에 잘 뛰지 못해서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형태로 설계했고, 그 사이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다리를 배치했다. 지상 입구는 강화유리로 덮어 태양빛이 들어오는 것은 물론 지하에서도 하늘을 올려다 볼 수 게 했고, 로라인과 유사한 형태의 공원 수십 개를 만들어 항상 깨한 공기를 유지할 수 있게 했다(위 사진).고대와 현대, 그리고 미래의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유명했던 초능력자 유리 겔라처럼 숟가락을 구 부리는 등의 능력을 상상한다. 하지만 유리 겔라도 몇 년 지나지 않아 간단한 트릭을 이용했음이 드러났다. 이 사실을 알아낸 것은 캐나다 마 술사 제임스 랜디였다.랜디는 여러 과학자와 함께 초능력주장 조사위원회를 열고 초자연현상이 일어나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따라 켜졌다꺼지면서 왔다갔다 하는 것처럼 보였어요. 게다가 시소 양옆에 놓인 유리창은 기울기에 따라 투명해지기도 했다가 불투명해지기도 했다가를 반복했지요. 이 시소는 어떻게 기울어진 정도를 알 수 있는 걸까요?“비결은 ‘초음파 거리 센서’에 있어요. 시소의 양쪽 아래에 붙어 있는 이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