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수학은 참여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않은 듯하다. 우리나라도 하루 빨리 수학 성적만이 수학에 대한 열정을 나타내는
지표
가 아님을 인정하고, ‘수학 문화 대중화’ 에 힘써야 하지 않을까.“꼭 해야 한다면 즐겨라!” ‘인도네시아 국제수학경시대회 2011’의 폐막식이 진행되던 날, 기자는 학생들보다 한 발 앞서 대회장에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늘어나는 것은 내수범람의 위험만을 늘린 것은 아니다. 빗물이 땅에 흡수되는 양이 줄고
지표
면으로 많이 흐르면 장기적으로 지하수의 수위가 하천의 지면보다 낮아지면서 용천수가 사라져 하천이 마른다. 도시 곳곳의 천이 말라 ‘건천’이 된 이유는 바로 도시의 하수처리 방식에 있다. 건천은 ... ...
운석 키트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떨어지면서 주변
지표
면이 굳어 생긴 암석을 이차생성물이라고 한다. 운석은 아니지만
지표
면 암석과 차이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초등교과서에는 운석이 아닌 이차생성물의 사진이 실렸다.만질 수 있는 운석 키트, 9월 출시이렇게 가치 있는 운석을 직접 볼 수는 없을까. 자연사박물관에 가면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를 연구하면 지각의 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외계 생명체를 찾을 때도 중요한
지표
가 된다.“산소가 닿지 않는 오래된 지층을 보면 쉬아넬라 균이 만든 철 2가 이온으로 된 퇴적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은 주변에 많이 있는 물질을 이용해 살아남도록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다르다. 즉 낮에는 지면가열로 생긴 난류에 마찰돼 풍속이 느려진다. 하지만 밤에는
지표
부근이 안정해 마찰력이 줄어들면서 하층제트의 풍속이 증가한다. 바람이 빨라지면 고위도로 수송되는 수증기와 에너지도 늘어나기 때문에 호우의 빈도와 강수량도 증가한다. 한 주무관은 “하층제트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듬해 봄 사이에는 가뭄이 자주 발생한다. 댐이나 저수지로 적절히 치수를 하고 있지만
지표
면에 있는 물을 관리하는 것만으로는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기가 어렵다.그래서 이에 대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지하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하수는 강이나 호수와 달리 기후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고 있다.도시 전체가 약 7m 높이의 콘크리트 받침 위에 세워졌다. 이는 사막의 뜨거운
지표
열을 막고 바람의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도시의 거리는 해가 지고 뜨는 각도와 정확히 직각으로 배치됐다. 그림자를 최대한 길게 하기 위해서다. 그림자는 도심에 그늘을 만들어 온도를 낮춰 준다.건물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가능하다. 집중호우는 좁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작은 규모의 기상현상이므로 정확한
지표
표현이 매우 중요하다.해상도 64배 높인 새로운 모델기상청은 최근 집중호우 예측에 한계를 가져오는 요인들을 개선하고 해상도를 상당히 높인 상세 국지예보모델을 구축했다. 새로운 모델의 해상도는 1.5km다.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중장기적으로 찾아야 하는데, 앞뒤가 바뀌었다”고 지적했다.[6월 2일 한미공동조사단이
지표
투과레이더로 캐럴 기지 땅속을 조사하고 있다. 10m 정도 깊이에 있는 묻혀 있는 물질이나 굴착의 흔적을 탐지할 수 있다.][5월 31일 한미공동조사단이 캐럴 기지 인근 낙동강에서 물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Q3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습한 바람이 이 광활한 평원에서 부닥치기 때문이다. 서풍이 남풍에 비해 강한 까닭에
지표
면을 따라 가로로 길게 회오리가 생긴다. 봄에 이런 현상이 많이 일어나며 이때 대기는 몹시 불안정해진다. 누워 있던 회오리는 어느 순간 벌떡 일어나고, 목화솜 같은 모양으로 여기저기에 구름을 터뜨린다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