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윌리윌리’라고 부르는 더스트데블(dust devil)은 날씨가 쾌청한 날에 일어난다. 햇볕이
지표
면을 달구면 따뜻한 공기가 빠르게 대기 중 압력이 낮은 부분을 뚫고 올라간다. 땅 위의 더운 공기가 같은 부분에서 연달아 상승하면서 먼지와 모래알을 실은 회오리가 된다. 더스트데블은 대개 지름이 9 ... ...
후쿠시마 원전 1Km 앞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94.75μSv. 대기 중 수치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였다. 오전에 나미에마치에서 측정한 값은
지표
면 부근으로, 대기보다 2~3배 높게 나온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 값이 가장 높은 수치였다. 원전 1km 지점이니 지역에 따라 더 높은 수치도 나올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조사단이 측정한 방사선 수치 60km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가능하다. 집중호우는 좁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작은 규모의 기상현상이므로 정확한
지표
표현이 매우 중요하다.해상도 64배 높인 새로운 모델기상청은 최근 집중호우 예측에 한계를 가져오는 요인들을 개선하고 해상도를 상당히 높인 상세 국지예보모델을 구축했다. 새로운 모델의 해상도는 1.5km다. ... ...
익스트림 에너지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화성탐사 시 흙을 직접 퍼서 분석하지 않아도
지표
면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공항에서도 쉽게 화약성분을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테러리스트를 색출할 수도 있다. 또 로켓과 미사일 등의 연소부에서 고에너지 연료의 연소반응을 해석해 노킹(knocking) 현상을 ... ...
황금박쥐 아리랑5호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편파마다 반사되는 특성이 달라 이들 정보를 분석하면 식물 및 나무의 성장상태 및 종류,
지표
의 수분함유 정도 등도 알아낼 수 있다.밀고 당기고 원하는 대로 찍는다광학위성은 여러 방향으로 영상을 찍기 위해서 우주공간에서 여러 가지 자세로 바꿔가며 촬영을 한다. 그러나 레이더위성은 ... ...
나만의 공부법부터 점검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너는 무척이나 성실한 학생이구나. 내신성적은 네 성실성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지표
거든. 산업디자인 외에 관심있는 분야는 없니?” “음……. 잘 모르겠지만, 예술적이면서도 논리적인 일을 하면 좋겠어요.” “그럼 건축에는 관심이 없니? 건축디자인이나 인테리어디자인도 네가 말한 분야가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가지 단어가 나와요. 그 뜻이 각각 다르다는 것, 알고 있나요? 분출은 액체 상태의 용암이
지표
면까지 올라와 땅을 타고 흘러 내려가는 현상을 말해요. 끈적끈적함이 적은 현무암질 마그마를 담은 화산이 주로 분출을 일으킨답니다. 하와이의 화산들이나 제주도와 울릉도를 만든 화산 활동이 여기에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화산성 지진을 감지하고 수준계와 GPS를 통한
지표
의 기울기와 팽창 정보, 화산성 가스 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진이 하루 100회 이상 발생한다고 한다. 백두산이 분화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
가 있다. 2002년 이후 백두산의 고도가 10cm 정도 높아졌다는 점이다.과학자들은 화산분화의 전제조건인 마그마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일어나며, 산의 고도와 표면 온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의대 교수와 함명일 순천향대 의대 교수 등이 2009년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30개 위험
지표
의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의 격차가 가장 큰 것은 원자력 발전이었다.]왜 대중은 전문가를 믿지 못할까지난 4월 7일 전국에서 봄비가 제법 내렸다. 봄 가뭄에 산불이 잦던 때에 내린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