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카메라"(으)로 총 6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은 내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71105
- 발명됐단다. 이밖에도 컴퓨터, 레이저프린터, 팩시밀리, 프라이팬, 향수, 맥주, 청량음료, 아이스크림, 쓰레기 비닐봉투, 방범 카메라, 자동문, 자기부상열차, 홀로그래피, 치약, 엑스레이, 심전도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 유전자 검사, 인슐린, 사진기의 컬러필름, 비디오테이프, 콤팩트디스크, 바코드, 원자폭탄, 백열등, 네온사인, 내비게이션 ...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한꺼번에 본다. 정밀하게 볼 수는 없지만 소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하는 데에는 더 유리하다. 밤하늘을 아주 정밀하게 찍는 초고성능 카메라도 나왔다(어린이과학동아 9월 15일자 64쪽 참조). 이런 기술이 발전하면 미래에는 고성능 우주망원경이 지구를 돌며 밤하늘을 지킬 것이다. 소행성이나 혜성을 발견한 뒤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여러 가지 방법으로 ...
- 천재 앵무새의 마지막 한 마디 “사랑해”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메하 교수가 에일리언을 닮은 곰치의 한 종류를 발견했답니다! 리타 교수는 곰치 다섯 마리를 수조에 넣은 뒤 1분에 100컷을 찍는 고속카메라로 촬영하고 X-레이도 찍었어요. 사진과 동영상을 분석했더니 곰치의 입 안에 또 다른 입이 있었지 뭐예요! 물고기 중에는 목구멍 쪽에 또 다른 이빨이 있는 것이 있어요. 바다 속에서 도망치는 먹잇감을 잘 붙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어린이과학동아 l20070920
- 일도 가능하지. 1959년 미국의 익스플로러 6호가 최초로 위성사진을 찍었을 때는 해상도가 낮아 사물을 분간하기 어려웠지만, 앞으로는 카메라의 성능이 좋아져 수십㎝ 크기의 물체도 구분할 수 있게 돼. 사람의 얼굴을 구분하거나 고해상도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일도 얼마든지 가능해. 이처럼 미래 사람들의 생활은 크게 변했단다. 어떻게 변했는지 가까운 ...
- 붉은 보름달어린이과학동아 l20070912
- 바꾸면 지구는 안전할 거예요. 이 카메라는 고화질로 밤하늘을 찍기 때문에 아주 작은 소행성도 잘 찾을 수 있대요. 과학자들은 이 카메라를 2010년까지 4대 더 만들 계획이래요. [소제시작]영국, 인간과 동물교잡 배아 허용[소제끝] 영국에서 인간과 동물이 섞인 배아를 만드는 연구가 허용됐어요. 배아는 정자와 난자가 결합한 수정란이 ...
- 독도는 새똥이 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0831
- 괭이갈매기의 사진을 찍다가 ‘똥 사진’을 찍었다. 두 다리를 가지런히 몸에 붙인 채 비행하는 괭이갈매기가 똥을 싸는 순간 카메라 셔터를 누른 것이다. 그 뒤 그가 찍은 사진에선 똥냄새가 난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날씨도 무더운데 새똥은 피해야지. 아~, 똥은 더러워! [소제시작]똥은 자원이다![소제끝] 그러나 똥이 더럽다고 욕하지 마라. 예로부 ...
- 빛의 기원 파헤칠 새 우주망원경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막 통과한 남자를 쓰러트려 수갑을 채웠다. 주위 사람들이 “몸에 플라스틱 폭탄을 갖고 있었대”라며 웅성거렸다. “저게 다 T선 카메라가 나온 덕분이야.” 아빠가 말씀하셨다. 응? X선은 알겠는데 T선이 뭐지? 2014년이 되면 T선을 이용해 다양한 제품들이 나온다. 위에서 든 공항 검색기를 비롯해 마약 검출기, 가짜 약 판독기 등이다. 가장 널 ...
- 세상을 움직이는 숨은 힘을 만나 보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070511
- 나가신다. 길을 비켜라! 부릉부릉~ 쉬잇~! 조용히 해! 지금 에너지 도둑을 잡고 있는 중이란 말이야! 찰칵찰칵~! 난 지금 방사선 카메라로 동물의 다친 부위를 찾고 있어. 이 소리는 어디서 들리는 걸까요? 궁금하다면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 만든 에너지체험관 ‘행복한i’로 가 보세요. 행복한i는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다양한 에너지에 대해 배 ...
- 찜질방에서 과학과 숨바꼭질을어린이과학동아 l20070131
- 다양한 물체에서도 적외선이 나온다는 사실을 알고 있니? 밤에도 잘 보이는 적외선 망원경이나 몸의 온도 분포를 볼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 엘리베이터의 적외선 센서가 이런 성질을 이용하는 거야. 이 밖에도 적외선은 리모컨에도 사용된단다. 정말 신기하지? 땀이 줄줄~ ; 이마와 콧등에 땀이 송골송골 맺혔다. 이런 내 모습을 보고 겨운이는“약해~!” ...
-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227
- 012년 발사한다. 정부는 최근 국가우주위원회를 구성하고 2012년 적외선 위성(아리랑 3A)을 발사하기로 결정했다. 이 위성에 달릴 적외선 카메라는 빛 대신 열을 본다. 주변 지역보다 온도가 갑자기 올라가는 지역을 찾아내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핵폭탄을 실험하는 현장을 찾아 낸다.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것도 알 수 있다. 또 비행장에 진짜 비행기 ...
이전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