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5건 검색되었습니다.
밀물과 싸워 건져낸 1억7천만년 전 최대 익룡 화석
연합뉴스
l
2022.02.23
제1
저자
인 에든버러대학 고생물학자 나탈리아 야기엘스카가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
인 에든버러대학 고생물학 교수 스티브 브루새트는 1800년대 초 공룡 연구에 큰 업적을 남긴 여성학자 매리 애닝의 화석 발굴 이후 영국에서 이뤄진 최대의 성과라고 격찬했다. [Natalia Jagielska 제공/ 로이터 ... ...
페로브스카이트 광-논리소자 개발…"5개 논리연산 모두 구현"
연합뉴스
l
2022.02.23
KIST)은 센서시스템연구센터 박유신 박사(교신
저자
) 연구팀이 GIST 정건영 교수(교신
저자
) 연구팀과 함께 광-반도체 소재인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를 이용해 빛으로 작동하는 초고속·고효율 광-논리소자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컴퓨터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 논리소자는 인공지능(AI), ... ...
항생제 내성 세균은 독성 물질을 어떻게 밀어낼까
연합뉴스
l
2022.02.22
회색) 같은 단백질을 식별한다. [미국 MIT 테레사 황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논문의 수석
저자
인 훙 교수는 "EmrE 전달체가 세포막의 양쪽을 어떻게 여는지 이해하려면 두 개의 구조가 있어야 한다"라면서 "그러면 이 전달체가 세균의 내부에 있던 리간드나 항생제를 밖으로 밀어내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
'사람과' 오랑우탄도 석기문화 출현 전제 조건 충족
연합뉴스
l
2022.02.17
약 1천300만년 전 인류와 오랑우탄의 공통조상에게 존재했을 수 있다고 했다. 논문 제1
저자
인 튀빙겐대학 연구원 알바 모테스-로드리고는 "이번 연구는 오랑우탄이 교육을 받지 않고도 날카로운 돌이 절단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는 점을 처음으로 제시했다"면서 "아울러 오랑우탄이 ... ...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 벙커 속 안전-낙오 공포 함께 경험"
연합뉴스
l
2022.02.14
에 게재된 'COVID-19 팬데믹에서 대학생들의 일상생활 경험: 해석현상학적 분석' 논문
저자
들(인제대 일반대학원 상담심리치료학과 박경자 박사과정·김명찬 교수)은 대학교 3·4학년 5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면접을 통한 해석현상학적 분석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해석현상학적 분석은 ... ...
재미한국인 공학도, 달리고 나는 변신 로봇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0
충분히 강하면서도 쉽게 변형돼 기계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제1
저자
에 오른 황도규 미국 버지니아공대 박사과정 연구원(맨 오른쪽)이 동료 연구원들과 소프트 로봇을 선보이고 있다. 버지니아공대 제공 소프트 로봇 관련 영상 링크: https://video.vt.edu/media/t/1_og4ur9 ... ...
KIST "신축성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 개발…옷 표면에 인쇄 성공"
연합뉴스
l
2022.02.10
배터리 소재가 신축성이 있는 리튬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관련 논문의 제1
저자
는 삼성디스플레이 소속 홍수연 박사다. 최근 고성능 웨어러블 기기와 신체 이식형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늘며 배터리도 피부나 장기와 비슷하게 말랑말랑하고 변형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질 필요성이 ... ...
네안데르탈인 유물 사이서 나온 현생인류 치아와 찌르개
연합뉴스
l
2022.02.10
간에 문화적 교류가 이뤄진 증거를 발견하지는 못했다고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
인 런던자연사박물관의 인류 진화 전문가인 크리스 스트링어는 "망드랭에서 찾아낸 것은 정말로 흥미로우며, 현생인류가 언제, 어떻게 유럽에 도착했는지를 알 수 있는 또 하나의 퍼즐 조각을 제공했다"면서 ... ...
북극 극한 바다서 300년 산 해면 먹이는 수천년 전 생물 화석
연합뉴스
l
2022.02.09
해면과 생물 화석의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가 같은 것이 결정적 단서가 됐다. 논문 제1
저자
인 해면 전문가 테레사 모간티 박사는 "해면이 고대 유기물을 이용할 수 있는 공생미생물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이 미생물들은 해면이 단백질과 키틴으로 이뤄진 관벌레와 같은 해산에서 서식하다 ... ...
당신이 아는 고대 괴물 상어 '메갈로돈' 진짜 모습 아닐 수도
연합뉴스
l
2022.02.08
토대로 메갈로돈의 모습을 추론한 것은 잘못됐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논문 제1
저자
인 UC 리버사이드 생물학자 필립 스턴스는 "지금까지 제시된 메갈로돈의 모습은 과학적 견지에서 모두 추측일 뿐"이라면서 "메갈로돈의 형체에 관한 의미 있는 논의는 적어도 완벽하거나 이에 가까운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