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저명학자들 “전 세계 퍼진 코로나바이러스 전수 검사하고 범용 백신 개발에 힘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2.20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백신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저자
들은 “유니버설 백신을 설계하려면 어떤 설계 전략이 면역 반응을 가장 신속하게 이끌어낼지를 확인해야 한다”며 “특히 새롭게 출현할 코로나바이러스를 방어할 수 있는 지속적인 ‘면역 기억’ 반응을 유발할 수 ... ...
공룡은 온혈 동물?…브론토사우루스 생리는 달랐다
연합뉴스
l
2021.12.20
공룡보다 냉혈동물에 더 가까운 중간적 생리 특성을 가졌을 수 있다고 했다. 논문 제1
저자
인 스페인 비고 대학의 알피오 알레산드로 치아렌자 박사는 "용각류가 생리학적으로 추운 지역에서는 아예 살 수 없었거나 다른 공룡보다 경쟁력이 떨어졌을 수 있다"면서 수각류와 조반류 일부가 몸에서 ... ...
[주말N수학]씹고 뜯고 맛보며 즐기는 수학의 매력
수학동아
l
2021.12.18
전산학부 학생이자 《발칙한 수학책》
저자
최정담 씨. 수학동아DB 같은 차라도 다양한 맛과 향이 있는 것처럼, 수학에도 우리가 느낄 수 있는 여러 ‘맛과 향’이 있다고 말하는 작가가 있다. 주인공은 블로그부터 유튜브, 페이스북, 책까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학의 매력을 설명하는 최정담 씨다. ... ...
'표범물개, 상어도 잡아먹는다'…뉴질랜드서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1.12.17
보이는 상처가 최소한 14개 있었다고 밝혔다. LeopardSeals.org의 공동 창설자이자 논문 공
저자
인 잉그리드 비서 박사는 지난 30년 동안 범고래를 연구해오면서 범고래가 상어를 잡아먹는 것은 자주 보아왔지만 표범물개가 그렇게 한다는 건 상당히 놀라운 일이었다고 말했다. 반 더 린드 박사는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이 과정을 반복하며 각 AI가 제시한 결과를 개선하며 정확도를 높인다. 연구논문의 제1
저자
인 백민경 연구원은 전화 인터뷰에서 “단백질 구조 해독에 대한 인류의 개발 역사에서 정점을 찍은 것이 최근의 AI를 활용한 방법”이라며 “밝혀진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미궁 속의 단백질 구조를 빠르고 ... ...
태양탐사선 파커호, 인류 우주선 최초로 바깥 대기 코로나 통과
연합뉴스
l
2021.12.15
채집하고 자기장을 측정하는 등 과학 장비를 가동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
인 존스 홉킨스대학의 파커호 프로젝트 과학자 누르 라우아피 박사는 앞으로 파커호 탐사를 통해 태양풍의 기원과 함께 어떻게 가열되고 우주로 내뿜어지는지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것으로 기대했다. 미국 ... ...
"초미세플라스틱, 모유 통해 자손 뇌로 전달된다"…발달 이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2.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희귀난치질환연구센터 선임연구원과 제1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정보현 박사과정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초미세플라스틱이 모유 수유를 통해 뇌 조직 등 자손의 여러 장기에 축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많은 양의 초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될 경우 자손의 뇌 발달 이상까지 ... ...
"공룡들의 마지막 봄"…공룡대멸종 칙술루브 소행성 봄에 충돌
연합뉴스
l
2021.12.13
봄에서 여름으로 이어지는 시기에 화석이 됐다는 점도 추론해 냈다. 논문 공동
저자
인 안톤 올레이니크 부교수는 타니스에서 발굴된 화석이 "K-Pg 경계 때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뿐만 아니라 언제 발생했는지에 관해 새롭고 믿기지 않을 정도로 상세한 통찰력을 제공해 줬다"면서 "여러가지 독립적 ... ...
[프리미엄 리포트] 북한에서 특별대우 받는 과학자들...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
과학동아
l
2021.12.11
2019년 이후에는 국제공동연구보다 북한 단독 논문의 수가 더 많아졌다. 북한 과학자가 주
저자
로 등재된 논문의 수도 2011년 26편에서 지난해 197편으로 7.6배 증가해 북한의 학술 역량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이 논문에서 강점을 보이는 분야는 물리·천문학, 수학 같은 기초과학과 ... ...
인류 건강과 지구 환경 지킬 궁극의 밥상 '인류세 식단'
동아사이언스
l
2021.12.10
1100만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위원회 보고서의 공동
저자
겸 영국 런던시립대 팀 랭 식품정책연구원은 “생태계를 더이상 파괴하지 않고도 100억명의 사람들을 건강하게 먹일 수 있는 식단”이라고 설명했다. ● 중저소득 국가와는 먼 얘기...지역 맞춤형 식단을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