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장애"(으)로 총 7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나서 무조건 잘 될 거라고 생각하기보다 언뜻 평탄해 보이는 이 길에서는 과연 어떤 장애물을 만나겠는지 걱정할 줄 아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실제 목표 달성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가 있었다 (Oettingen et al., 2009). 또 사람마다 동기부여의 원천이 달라서 어떤 사람들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2017.11.14
- 쓰면 시교차상핵이 아직 낮이라고 판단해 잠들 채비를 하지 않고 그 결과 수면장애를 겪을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밤늦게까지 뭔가를 봐야 하는 사람은 되도록 파란빛의 비율이 낮은 조명을 쓰는 게 좋을 거라고 얘기했다. (그 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 파란빛을 줄인 ‘보기 편한 모드’가 ...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 오해로 인해 마치 유령을 만난 듯한 오싹한 체험을 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로 신경장애로 인한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 등 뒤에서 유령과 같은 환각을 경험하게 해주는 이 로봇은 정신분열증과 같은 상태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주기에 맞춰 몸이 리듬을 타게 조절하는 생체시계는 대중에게도 너무나 익숙하다. 수면장애나 비만, 암 발생 위험성 등 생체시계 교란과 관련된 건강 문제가 부각된 지도 오래다. 따라서 생체시계 분야의 개척자들이 10년 전에 노벨상을 받았어도 전혀 이상할 게 없다. 오히려 이제야 선정된 게 ...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2017.08.20
- 반려동물(고양이, 강아지, 새, 햄스터 등)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정신분열, 양극성장애 등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평소 정신건강을 조절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도움을 주는 관계, 네트워크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했다. 참가자들에게 서로 겹쳐져 있는 세 개의 원 그림을 주고 중요한 순서대로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정신과장 및 이화여대, 경희대 의대 외래교수를 지내면서,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인류학적 원인에 대해 연구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5),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2016) 등을 저술했고, '행복의 ...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2017.07.05
- 과 해리성정체감장애인 사람의 4분의 3과 외상후증후군인 사람의 절반, 양극성장애인 사람의 상당수가 환청을 경험한다고 한다. 그러나 정신질환이 없는 사람들 가운데 5~15%도 환청을 들은 적이 있다고 보고했다. 흥미롭게도 전문작가들을 조사한 결과 상당수가 환청을 체험한다고 답했고 환청이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2017.05.07
- 정신과장 및 이화여대, 경희대 의대 외래교수를 지내면서,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인류학적 원인에 대해 연구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5),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2016) 등을 저술했고, '행복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2017.04.11
- 깨어 일어나라. 그때 당신의 몸이 가장 상태가 좋을 것이다. 그때 당신의 영혼에 장애물이 가장 작을 것이다. 그때 당신의 귀를 괴롭힐 소음도 하나 없을 것이다. 아무것도 당신의 눈을 어지럽히지 않을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 [사이언스 지식in] 치매 왜 생기는 걸까? ... 흔들리는 알츠하이머 원인의 정설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싶다는 마음은 누구나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치매는 이런 소망을 가로막는 가장 강력한 장애물입니다. 뚜렷한 치료법도 없고, 정확한 원인도 알 수 없다는 점에서 더 답답합니다. 의학계와 제약사는 알츠하이머 병 치료를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알츠하이머 병의 원인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