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내
지휘
통솔
맵
길잡이
약도
기로
스페셜
"
지도
"(으)로 총 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인체 림프계 분포
지도
이고 오른쪽은 이번 버지니아대 연구팀의 결과를 반영한 새 림프계
지도
다. 소 교수는 “그렇게 오랫동안 알려진 림프관조차도 뇌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며 림프관의 10분의 1에 불과한 프리모관(그 사이 봉한관에서 이름이 바뀌었나보다)의 실체를 알기 어려운 ... ...
머리 겔만과 펜타쿼크
2015.07.27
벽돌 모델”이라고 깎아내렸다. 츠바이크는 실력을 인정받아 칼텍의 교수가 됐지만
지도
교수였던 파인만은 여전히 에이스(쿼크)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쿼크의 존재를 지지하는 이론과 실험결과가 이어졌고(아쉽게도 에이스란 용어는 쿼크에 밀렸다) 1969년 겔만은 단독으로 노벨물리학상을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
2015.06.23
상패를 받기도 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유학을 간 학생들을 직간접적으로
지도
해 양강, 한상준, 김각중, 장세헌 등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도 했다. 1973년 한국과학원의 석좌교수로 귀국했을 때 고희를 넘긴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후학 양성과 연구를 계속해 20년 동안 70편에 가까운 ... ...
기후변화로 수몰위기에 처한 섬나라들의 대책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해변. 투발루는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는 휴양지이지만 기후변화로 가장 먼저 사라질
지도
모르는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수도인 푸나푸티는 이미 침수가 시작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될 국가는 바로 남태평양의 아름다운 섬나라 투발루다. 여의도의 약 3배 면적(26km²)에 ... ...
[법성포에서 원자력을 만나다2] 에너지로 키워 낸 한반도의 물고기들, 한빛 에너지 아쿠아리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0
벽체를 두고 이를 빙 둘러싸도록 전시수조를 배치했습니다. 각각의 수조는 한반도
지도
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요 해역을 표현해요. 각각의 해역에 맞는 생물종을 배치해서 전시관을 한 바퀴 둘러보면 전국의 바다를 모두 보는 것과 비슷한 느낌을 주도록 고심했습니다.” 에너지 아쿠아리움 ... ...
나눔연수 [제14회]
동아사이언스
l
2015.04.08
교사가 참가했다. 이번 나눔연수에는 남광현 인천 봉화초 교사가 ‘에어로켓 실습&
지도
’라는 주제로 강의에 나섰다. 두 번째 시간에는 동아사이언스 과학동아키트팀 김정훈 팀장이 강사로 나서 '발포정 로켓 만들기'에 대해 설명했다. 나눔연수는 뛰어난 교육자의 경험과 지식을 널리 공유하기 ... ...
韓中 백두산 폭발 대비 구멍뚫어 탐사 나선다
2015.04.02
백두산이 폭발할 경우 동북아 일대에 화산재가 퍼지면서 아시아 지역은 물론이고 유럽까
지도
극심한 피해를 볼 수 있다. 이번 한중 백두산 공동 탐사 프로젝트도 백두산 폭발이 아시아 지역 안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중국 측 판단에 따라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201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그룹리더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을 때 아메드 즈웨일 교수의
지도
를 받았다. 즈웨일 교수는 화학결합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펨토화학이란 새로운 분야를 탄생시켜 1999년 노벨화학상를 받은 이 분야의 대가이다. “그동안 분자 하나와 관련된 ... ...
살아 숨 쉬는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3.24
못하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고 경고했다. 조만간 빅데이터라는 말이 사라질
지도
모른다. 모두가 빅데이터 기술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꾸릴 테니 말이다. 결국 중요한 건 사람이다. 빅데이터 분석은 컴퓨터가 할 일이지만,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해 어디에 활용할지 결정하는 일은 사람이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연구성과로 이 분야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뜻이다. 우선 명 단장은 박사후연구원 시절
지도
교수와 함께 'GCR'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는데, 이는 염색체 일부가 뚝 끊겨 옮겨가서 다른 염색체에 붙는 전좌(translocation)뿐 아니라 염색체 일부 구간이 뒤집히는 역위(inversion), 염색체 일부가 사라지는 결손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