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08
곧 수학과 천문학에 푹 빠지게 됐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믿었던 메스틀린
교수
를 따라 케플러도 지동설을 지지했다.1591년 졸업 후 오스트리아의 그라츠에 있는 고등학교에서 수학과 수사학을 가르쳤다. 케플러는 인기가 없어 수업에 들어오는 학생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케플러는 남는 시간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08
있다.1998년 APEC청소년 과학축전 프로그램으로 개발된 '과학문화탐방'이 그것이다.박승재
교수
(서울대 물리교육과)가 개발한 이 프로그램은 우리 고유의 문화재속에서 과학을 발견한다는 독창성이 돋보인다.창덕궁,수원성,해인사 등과 같은 유적지를 비롯해 이천 도예마을,고인쇄박물관 ... ...
모래시계에서 발견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008
이용해 모래더미의 가장자리에서 모래가 액체처럼 흘러내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던 재거
교수
와 그 동료들은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를 이용해 ‘브라질 땅콩 효과’가 일어나는 과정을 촬영했다. 유리 콘테이너에 모래를 넣는다고 해도 우리는 맨 가장자리에 있는 모래들의 운동밖에 관찰할 수 없다. ... ...
중력의 임무(Mission Of Gravity)
과학동아
l
200008
중성자별에 사는 지적 생명체를 묘사한 장편 '용의 알'의 작가) 같은 물리학이나 천문학
교수
이면서 SF소설도 쓰는 사람이 늘어나서 더욱 그랬다.하지만 아직도 하드SF의 대가로서 그의 선구적인 위상은 변함이 없다. 과학교사라는 직업에 충실한 사람답게 고급 지적 유희로서의 하드SF 창작을 그만큼 ... ...
2. 가속기가 열어온 입자물리학 50년
과학동아
l
200008
반데미르가 성공적으로 해결한다. 이 공로로 그는 공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루비아
교수
와 같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다. 한편 강력을 매개하는 글루온은 전자와 양전자의 충돌실험에서 제트 생성 현상을 통해 그 존재가 입증된다.대칭성 보존의 신앙 깨지다자연계의 기본 대칭성은 물리학자들이 ... ...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08
개인이나 연령에 따라 오차가 많고 색각이상의 정도를 잘 알 수 없다.서울대 의대 한천석
교수
가 만든 한식 색신표도 기본적으로 이시하라식과 동일하다.100휴검사(100-hue test)는 정상인이 구별가능한 공깃돌 모양의 85개 색패를 색깔 순서대로 배열하게 해 색각이상을 알아내는 방법으로,정확도가 ... ...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008
믿음이 작은 망원경에 의해 무너진 해였다.갈릴레이는 이 업적으로 대학에서 종신
교수
로 임명됐으며,월급도 매우 많이 올라갔다.이 얼마나 신나는 일인가?커가는 구경그후 여러 사람들이 다양한 종류의 망원경을 만들어 하늘을 관측하는 데 사용했다.처음에는 렌즈만을 이용한 굴절 망원경이 ... ...
호흡검사만으로 세균 감염 쉽게 파악
과학동아
l
200007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환자의 날숨을 한쌍의 전극이 설치된 작은 용기에 모은다. 머닉
교수
가 개발한 ‘동위원소 레이저’를 전극과 연결하고 용기 안의 날숨에 비춘다. 이 레이저는 특정한 동위원소를 만나면 에너지가 달라지면서 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변화가 생긴다. 즉 탄소12와 탄소13이 어느 ... ...
선진국형 물관리 실현하는 벤처의 산실
과학동아
l
200007
위해서는 단지 기술적 차원뿐 아니라 정책적 대안이 함께 제시돼야 한다.흥미롭게도 박
교수
연구실에서 이런 인문사회학적 탐구도 진행중이다.수도산업의 광역화 및 민영화방안 연구,물값 현실화 방안 마련,환경정책 분석 등을 통해 그야말로 명실상부한 물관리의 종합적 산실로 성정하고 있는 ... ...
오픈소스 문화의 영웅들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07
우수한 기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싶었다. 그때까지 네덜란드의 앤디 타넨바움
교수
가 개발한 미닉스란 PC용 운영체제가 있었지만 16비트 기종에만 돌아가도록 설계돼 있어 32비트 PC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토발즈는 자신의 집에서 386 PC로 몇 달간 밤낮을 가리지 않고 프로그래밍에 몰두한 ... ...
이전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