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버공간의 또 다른 나
과학동아
l
200007
자신이 예상하지 못했던 방향으로 발전한다는 말이다. 이를 두고 MIT 사회심리학
교수
인 셰리 터클은 “사이버공간이 단순히 놀이공간이 아닌 또 다른 세상이며, 사이버자아는 사이버세상에서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현실자아와 ‘독립적인 모습’으로 성장해간다”고 주장했다.상호작용하는 ... ...
① 기상 : 날씨 첫 교신 '쾌청'
과학동아
l
200007
개발하기 위해서도 기상조건을 파악하는 것은 1차적인 일이다.이에 덧붙여 박순웅
교수
는 북한에 민간 차원의 공단이 들어설 경우 기상정보 수집은 환경평가를 위해 필수라고 지적한다. 공단 예정 부지에서 오염물이 어떻게 확산되고 수송돼 주위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야 한다.이를 위해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07
통일 후 기술적으로 많은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북한 정보통신 전문가인 박찬모
교수
는 “북한의 정보통신 기술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가장 우선해야 한다. 북한의 실정을 제대로 알아야 정책 수립과 기술표준화, 교류 등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간단한 예로 북한에는 ... ...
원자와 분자로 글씨를 쓴다
과학동아
l
200007
대단하다.자상함으로 무장한 연구실의 덕장인 셈이다.나노의 세계에 빠져서 그런지
교수
님부터 연구원들이 모두 아담하고 자그마한 모습이다.이들은 매년2월 스키장에서 선후배 만남을 가진다.모든 일을 마다하고 달려오는 선배들,끈끈한 정과 화기애애한 연구실 분위기는 다른연구실에서 ... ...
한국의 공룡
과학동아
l
200007
관심을 받았다. 우리나라에서 새발자국이 제일 처음 발견된 곳은 1969년 서울대 김봉균
교수
가 마산시 북쪽 12km 지점에서 관찰한 함안층이다. 그런데 당시에는 그 발견이 가지는 중요성에 대해 알지 못했다.현재 경상누층군에서 발견되고 있는 다양한 새발자국은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후기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06
수축 리듬을 갖고 있어 훨씬 빨리 움직일 수 있다. 미국 버지니아 대학의 데이빗 스미스
교수
는 이 근육을 두고 “동물이 발전시킨 가장 눈부시게 활동적인 조직”이라고 말했다.물론 날개를 치는 횟수와 비행속도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잠자리의 경우 날갯짓 횟수는 파리에 비해 ... ...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 인류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006
따라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또 같은 발굴단원인 노스텍사드 대학의 리드 페링
교수
는 “석기 기술은 뒤떨어졌지만, 나무를 사용하거나 사회적 행동을 발달시켜 충분히 난관을 극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이번 발굴에 대해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크리스 스트링거 박사는 “드마니시에서 ... ...
④ 행동 : 일사불란한 작전 펼치는 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006
사인만 확인하면 된다.분산 투입 후 몸 속에서 합체한편 일본 나고야 대학의 후쿠다
교수
는 ‘세포 로보틱스’라는 새로운 분야를 만들었다. 이것은 개별 로봇을 세포와 같이 단순한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정의하고, 이 세포들이 자율적으로 결합하고 협동해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06
있다. 독일 튀빙겐 대학의 닐스 비르바우머
교수
팀과 스탠포드 대학의 러스티드
교수
팀은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 모니터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는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그들은 전신마비 증세를 앓고 있는 환자들이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뇌파로 조종되는 컴퓨터 키보드를 개발하고 있는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06
수 있을 것으로 믿었다. 인공지능분야의 대부인 MIT 인공지능연구소의 마빈 민스키
교수
가 학생들에게 불과 한학기 동안 시각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과제를 내준 것은 잘 알려진 일화다. 하지만 이후 40년이 지난 현재에도 인간의 시각과 비교할만한 인공시각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앞으로도 ... ...
이전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다음
공지사항